경제·금융

[되돌아 본 2001 세계경제]반세계화 시위

"국가간 빈부차 커진다" 거센 반발올 한해 반세계화의 함성은 세계화를 외치는 목소리 만큼이나 높았다. 특히 국제기구 회의에 맞춰 열린 각종 민간단체(NGO)들의 시위는 올들어 더욱 격렬해졌다. 개도국 역시 국가간 장벽을 무작정 무너뜨리는 신자유주의(Noe- Liberalism)에 근거한 세계화는 결국 국가간 빈부차를 더욱 심화시킨다면서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 거대한 함성으로 번진 반세계화 물결 반세계화시위는 지구촌의 주요 화두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반세계화론자들은 글로벌리제이션(세계화)이 결국 돈 있는 사람을 위한 것이라면서 99년 세계무역기구(WTO) 시애틀 회담이후 불거지기 시작한 반세계화 시위를 격렬하게 전개했다. 지난 4월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미주정상회담, 6월 스웨덴 예테보리의 유럽연합정상회담 역시 시위대의 집중공격의 대상이 됐다. 급기야 7월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열린 선진8개국(G8) 정상회담에서는 경찰에 의해 시위대 한명이 사망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국제 기구들은 이에 따라 "도대체 어디에서 회의를 열어야 하는가"라는 고민에 부딪혔다. 세계은행은 지난 6월 시위를 우려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국제개발회의를 인터넷 화상회의로 대신했다. WTO역시 올해 각료회의를 시위대가 접근하기 힘든 카타르 도하로 '피신(?)'해 개최했다. ◆ 개도국의 반발도 가시화 개발도상국들도 지금과 같은 방식의 세계화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가 WTO의 도하 아젠다 협상. 도하 아젠다 협상중 마지막까지 진통을 겪었던 사안은 농업이나 반덤핑 문제가 아닌 인도가 중심이 돼서 제기한 개도국 지원 방안이었다. 개도국들은 생계비가 1달러 미만인 개도국의 절대빈곤층이 줄지 않는 등 세계화의 혜택이 선진국에 집중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의 실험 무대였던 중남미의 좌절 또한 세계화가 모든 국가들 잘살게 해줄 것이란 이른바 워싱턴 컨센서스에 반대하게 만들고 있다. 경제난을 견디다 못한 아르헨티나는 지난 22일 결국 외채 지불중단을 선언했다. 세계화가 좀더 '인간적'인 얼굴을 갖지 않는 이상 반세계화 시위와 개도국의 반발은 2002년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장순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