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대졸신입 재교육 비용 1인당 1억원 넘어

대기업 재교육기간 평균 29.6개월

대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이 1인당 1억원을 초과, 기업 부담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기업의 경우 채용 후 실무투입에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재교육 기간도 평균 2년6개월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국내 기업들의 총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은 총 8조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00인 이상 전국 536개 기업을 대상으로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 현황조사'를 실시, 8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수습훈련 기간, 교육연수기간, OJT 등 채용 후 실무 투입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은 20.3개월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8.6개월, 비제조업이 24.2개월로 비제조업이 더 길었다. 특히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300인 이상)의 경우 신입사원 재교육 평균 기간이29.6개월로 중소기업(16.1개월) 대비 1년 이상 길었다. 교육 비용, 임금총액, 4대 보험 기업 부담분 등 총 인건비를 합산한 재교육 비용은 신입사원 1인당 평균 6천218만4천원, 연간 평균 3천675만9천원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비제조업이 1인당 총 7천500만원(연간 3천719만원)으로 제조업(1인당 총 5천433만 2천원, 연간 3천503만3천원)보다 높았다. 규모면에서는 대기업이 1인당 1억679만9천원(연간4천329만7천원)으로 역시 중소기업(1인당 총 3천919만4천원, 연간 2천921만3천원)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대기업의 순수 교육비용 자체가 중소기업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신입사원의 임금 수준도 중소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은 데 따른 것이라고 경총은 전했다. 경총 관계자는 "임금과 4대 보험 기업 부담분을 제외한 순수 교육비용은 대기업의 경우 1인당 연간 1천200만원, 중소기업은 1인당 연간 500만∼600만원 가량으로추정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4년제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 총 소요비용은 총 8조2천207억원, 연간 4조8천59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는 `신입사원 1인당 평균 재교육 비용(6천218만4천원)×지난해 4년제 대졸 취업자수(13만2천199명. 교육부 `2004 교육통계연보' 기준)' 방식으로 산출된 수치다. 이는 국내 상장사 중 12월 결산법인 531개사 연간순익(49조5천239억원, 지난해기준)의 9.8%에 달하는 금액으로 전문대 졸업자까지 포함하면 취업자수는 지난해 기준 37만5천388명이어서 전체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에 따른 총 기업 부담은 15조원을넘어설 것으로 경총은 내다봤다. 한편 신입사원의 업무성취도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은 25.9%에 불과했으며 `보통' 48.4%, `대체로 불만족' 25.3%, `매우 불만족'(0.4%) 등으로 나타나 대졸 신입사원에 대한 불만도가 높았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33.3%)이 중소기업(21.6%)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대답한 업체들은 그 이유로 `대학교육이 기업의 인력수요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39.4%), `사회 전반적인 인력의 질적 저하 현상 때문'(23.7%), `인력선발과정에서 적절한 인재를 선발하지 못했다'(21.1%) 등을 꼽았다. 경총은 "산업계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현실과 평준화 위주의 교육정책이 인력의 전반적인 질적 저하 현상을 초래, 기업 부담을심화시키고 있다"며 "맞춤형 교육과정 등 산업계 요구를 반영한 실무형 대학교육과산학협력 강화를 통해 노동시장에서 원하는 인력이 적시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고려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