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대기업 중기 온실가스 감축지원 비용 7% 세액공제

24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ㆍ중소기업 녹색 동반성장 간담회’에 앞서 최중경(앞줄 오른쪽 네번째) 지식경제부 장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그린 크레디트’ 양해각서(MOU)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김동호기자

대기업이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할 경우 비용의 7%를 세액공제 받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 대기업은 감축량의 일부를 실적으로 인정받는 방안도 검토된다. 지식경제부는 24일 롯데호텔에서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과 관련 협력사 등 중소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ㆍ중소기업 녹색 동반성장 간담회’를 열고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 지원을 위한 그린 크레디트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그린 크레디트 사업 동참을 약속하고 그린 크레디트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대기업은 현대자동차ㆍ포스코ㆍ하이닉스반도체ㆍ삼성전기ㆍ호남석유화학 등이다. 그린 크레디트 사업은 대기업이 온실가스 감축설비를 설치하는 중소기업에 시설자금 일부를 제공한 뒤 감축 실적의 일부를 크레디트로 이전 받는 것을 말한다. 올해부터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적용을 받는 대기업 입장에서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분을 자체 감소분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면 온실가스 절감 목표를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시행으로 에너지 다소비 대기업인 현대차ㆍSK에너지ㆍ포스코 등 산업ㆍ발전 부문 378개 관리기업은 오는 9월까지 정부로부터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부여 받아 내년부터 감축활동에 나서야 한다. 중소기업도 대기업 지원을 받아 온실가스 감축설비를 설치하면 비용부담이 줄고 에너지 효율과 수익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경환 지경부 에너지절약추진단장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대상 대기업이 오는 2020년까지 감축량의 10%를 그린 크레디트를 통해 달성한다고 가정하면 1조원가량 중소기업 온실가스 절감 설비에 투자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경부는 보다 많은 대기업이 그린 크레디트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대기업이 협력업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지원한 자금에 대해 7%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방안을 관련부처와 협의해 진행하기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세액공제안은 기획재정부와 좀 더 협의해봐야 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경부는 대ㆍ중소기업 간 에너지이용합리화 자금 4,270억원을 중소기업에 지원하고 업종별 ‘온실가스·에너지 감축연구회’를 활성화해 대기업의 감축 노하우도 중소기업에 전수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다음달 연면적 1만㎡ 이상 공공기관 건물을 에너지 진단 의무화 대상에 편입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