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장 후보 공약 어떻게 변해왔나

2002년 '생활환경', 2006년 '부동산', 2010년 '복지'


SetSectionName(); 서울시장 후보 공약 어떻게 변해왔나 2002년 '생활환경', 2006년 '부동산', 2010년 '복지' 임세원기자 why@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수돗물 개선에서 부동산을 거쳐 무상교육까지.' 2000년대 들어 치른 서울시장 선거에서 후보들이 내건 공약을 통해 본 유권자들의 관심사다. 지난 2000년대 초반에는 기본적인 생활환경에 대한 목마름이 많았고 중반에는 뉴타운 등 부동산 개발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이제 오는 6월2일 투표를 앞둔 유권자들은 중산층까지 해당하는 '보편적 복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02년 민선 3기 서울시장 선거는 여당에서 김민석(민주당), 야당에서 이명박(한나라당) 후보가 대결했다. 이 시기에는 수돗물 수질과 버스 및 지하철 개선이 이슈였고 후보들은 이를 공약에 반영했다. 당시 김 후보는 출퇴근 교통난과 주택가 주차 문제, 수돗물 불안감과 대기오염 불편 해소를 대표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 후보도 마찬가지다. 청계천 복원 외에 그는 깨끗한 대기, 깨끗한 수돗물, 깨끗한 거리라는 '3청(凊)'을 공약했다. 2002년은 정부가 1993부터 벌인 팔당호 수질 개선 사업을 마무리한 시점이었지만 성과가 좋지 않아 여론의 질타를 받던 상황이었다. 2006년은 여당의 강금실 후보와 야당의 오세훈 후보가 맞바람을 일으키며 대결했다. 이슈는 단연 부동산 개발이었다. 오 후보는 뉴타운 50곳 건설을 내세웠고 강 후보도 아파트 16만가구 공급으로 맞섰다. 당시 다른 시도지사의 공약에도 건설을 통한 개발이 주요 공약이었다. 15개 시도지사 공약의 46.8%가 각종 도로 및 도시 개발에 관한 내용이었다. 복지와 환경은 상대적으로 뒷전에 놓였다. 서울 시민들은 뉴타운 공약을 선택했고 이는 18대 국회의원 총선에서도 한나라당 의원들의 대표 공약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이후 오 시장이 뉴타운 재검토를 선언함으로써 논란을 빚기도 했다. 2010년 재선에 도전한 오 시장은 야당 후보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와 맞붙고 있다. 이번 선거공약의 특징은 누구에게나 해당하는 복지 즉, 선진국형 복지에 대한 유권자들의 요구를 정치권이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한 후보는 초ㆍ중ㆍ고생 95만명에게 친환경 무상급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오 시장은 공교육에 1조원을 투입해 사교육 없는 학교를 만들겠다고 맞섰다. 두 후보 모두 중산층까지 해당하는 복지에 방점을 찍고 있는 셈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