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택마저 서울 대형사에 발주…”/지방건설사 수주난 심화

◎잇단 사고·불도… 시공력 불신 커져/토목공사 실적 거의 전무/지자체 발주비중 확대 등 요구경기침체와 건설공사 관리 강화, 면허 개방 등으로 지방 건설업체의 수주난이 가중되면서 서울과 지방 업체간에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2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및 업계에 따르면 ▲건설시장 개방 및 부실공사 방지를 위한 관련법제 개편 ▲민간 경기 부진 ▲면허 개방에 따른 지방 업체수 급증 등으로 서울업체보다는 지방업체들이 훨씬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당 평균 계약 실적은 서울의 경우 지난 93년 4백75억원에서 95년 3백93억원으로 17.3% 준데 비해 지방은 1백62억원에서 1백21억원으로 25.0% 감소해 평균 수주규모의 격차가 심화됐다. 갖가지 대형사고로 지방 중견·중소업체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는 추세여서 공공부문 발주액중 지방자치단체 발주 비중은 93년 47.1%, 94년 44.3%, 95년 41.6% 등 오히려 축소되고 있어 지방업체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같은 상황속에서 지난해 부도업체 1백96개중 서울은 58개, 지방은 1백38개였으며 올해 현재 1백19개의 부도업체중 서울은 36개, 지방은 83개를 기록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토목분야 공공공사 물량 대부분을 서울소재 위주의 대기업이 거의 독식하고 있고 빌딩이나 주택 등 소규모 민간 공사조차 서울 대형업체들에 맡기려는 풍조에다 부동산 불경기마저 겹치면서 토착 건설업의 도산 사태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 업계에서는 지방 경제의 활력을 위해 지자체의 발주 권한을 확대하고 제도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정두환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