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본확충펀드 20조원 조성…은행권, 구조조정 신호탄 될까 '촉각'

"재무건전성 높아질 것" 환영속 경영개입엔 우려<br>"펀드 적극활용" "자구노력 우선" 은행마다 입장차<br>보험업계는 "대주주 증자통해 지급여력 비율 제고"


은행권은 정부의 자본확충펀드 조성 계획이 은행의 건전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자칫 은행권 구조조정의 시발점이 되지나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보험업계는 정부의 권유에 따라 대주주의 증자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고 저축은행은 구조조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자산관리공사(KAMCO)의 부실채 매입과 관련된 견해차이를 조율해줄 것을 요청했다. ◇자본확충펀드는 구조조정 신호탄(?)=정부는 자본확충펀드는 공적자금이 아니라 시장을 통한 자본수혈이기 때문에 과도한 경영개입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은행권은 외화 지급보증 때처럼 양해각서(MOU) 등 어떤 형식을 취하든 경영에 관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장들은 18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모임을 갖고 "자구노력을 통해 당국이 제시한 BIS 비율 9%(기본자기자본 기준)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중기 대출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다짐했다. 은행권은 일단 정부의 자본확충 방안에 환영을 표시했지만 속내는 은행마다 차이가 있다. 우리은행은 정부의 자본확충펀드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신한ㆍ국민은행 등은 자구노력으로 정부의 BIS 비율 목표치를 달성할 계획이다. 이들은 정부가 강제로 자본을 투입하지는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하나은행은 증자 등을 통해 자구노력을 경주하되 필요하면 자본확충펀드를 활용할 계획이다. 은행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은행들이 증자 등을 통해 BIS 비율을 높여나가고 있지만 경기침체로 부실자산도 늘어나는 만큼 실제 BIS 비율은 당초 목표보다 낮아질 수 있다"며 "모든 은행들이 자본확충펀드에 의지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보험회사는 대주주 증자에 박차=금융당국은 재무건전성이 떨어지는 보험사에 대해 대주주의 증자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업계는 대주주 증자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지난 9월 말 현재 재무건전성 기준이 되는 지급여력비율 150%를 밑돌아 자본확충이 필요한 생보사는 교보ㆍ미래에셋ㆍ동양ㆍKBㆍ하나HSBCㆍINGㆍ알리안츠ㆍPCAㆍAIG 등 9개사이다. 제일화재ㆍ그린손보 등 손보사들도 주가하락과 채권가격 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평가손실로 지급여력비율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 미래에셋생명은 내년 1월 중 1,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또 KB생명은 대주주인 국민은행(51%)과 ING인슈어런스(49%)가 총 260억원의 증자를 단행하며 SH&C생명 대주주인 신한금융지주와 BNP파리바도 총 170억원의 증자를 실시한다. 이외에 하나HSBCㆍINGㆍ우리아비바ㆍ그린손보 등도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다. ◇캠코의 부실채권 매입 견해 차이 조율해야=저축은행업계는 캠코가 저축은행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을 매입해주는 방안이 캠코와 저축은행 간의 매입조건에 대한 견해차이로 삐걱거리는 만큼 금융당국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캠코의 저축은행 부실 PF채권 매입과 관련해 저축은행들은 캠코의 매입조건이 지나치게 까다롭다고 지적했다. 주로 우량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데다 관리수수료 등으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연 10% 안팎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먼저 저축은행중앙회는 오는 23일 이사회를 열고 부실 저축은행과 채권 인수를 위해 업계 공동으로 1,000억원의 기금 조성 방안을 구체적으로 협의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