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 BIS비율 상승세로

9월 현재 14.25%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9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은행들이 후순위채 발행을 늘려 자기자본을 늘린 반면 원화 값 상승에 따른 원화 환산 외화대출금은 줄어 위험가중자산이 줄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 건전성을 보여주는 BIS비율은 9월 말 현재 14.25%로 6월 말(13.87%)보다 0.38%포인트 올랐다. BIS비율은 지난해 말 14.30%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이어오다 9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기본자본(Tier1) 비율도 11.14%로 전 분기 말(10.97%)보다 0.17%포인트 올랐다.

관련기사



BIS비율이 상승한 것은 올 3ㆍ4분기에 은행들이 자본증권(후순위채ㆍ영구채) 발행 등으로 자기자본이 4조1,000억원(2.47%) 늘었지만 환율 하락으로 외화대출금 원화 환산액은 감소하면서 위험가중자산이 3조1,000억원(0.26%) 줄었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1조7,000억원에 달하는 당기순이익을 달성한 것도 BIS비율을 끌어올렸다.

은행별로는 씨티은행과 부산은행의 BIS비율 상승 폭이 각각 0.86%포인트로 가장 컸다. 우리은행은 국내 은행 가운데 유일하게 BIS비율이 감소(0.17%포인트)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 이후 계속 하락하던 BIS비율이 상승세로 전환되는 등 국내 은행의 자본 적정성이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