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0 신년기획] 지방선거 "野 찍어 정권독주 견제" 42% "與 지지" 31%

서울경제·한국리서치 공동 여론조사 [정치분야]<br>수도권 野지지율 40%대… 충청선 56%나<br>與 텃밭 부산·경남서도 견제·안정론 팽팽<br>李대통령 국정지지율은 40% 초반 지속



2010년 지방선거에서'정권견제론'차원에서 야당을 지지하겠다는 국민이 국정안정을 위해 여당을 지지하겠다는 국민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ㆍ경북과 강원ㆍ제주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야당 지지세가 우세했으며 특히 충청권에서는 '세종시 수정론'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으로 야당 지지 여론이 압도적이었다. 이 같은 내용은 서울경제신문이 창간 5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2009년 21일부터 이틀 동안 19세 이상 성인 남녀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드러났다. 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는 3.1%다. ◇세종시 문제, 충청 민심에 직격탄=조사 결과 정당지지도는 한나라당이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 정당을 묻는 질문에 한나라당을 꼽은 응답자가 32%였으며 민주당은 22.4%였다. 민주노동당(4.3%), 친박연대(3.9%), 진보신당(2.2%), 국민참여당(2.1%)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2010년 지방선거 결과를 묻는 질문에는 전혀 다른 답이 나왔다. 이명박 정부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을 지지하겠다는 여론이 우세하게 나온 것. 지방선거 투표 기준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41.9%가 '이명박 정부를 중간평가하고 독주를 막아야 한다는 점에서 야당을 지지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국정안정과 지역경제 발전을 생각해 여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30.8%였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ㆍ경북 등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지역에서 야당 지지율이 높았다. 서울은 야당 지지율이 43.1%로 여당 지지율(31.2%)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고 인천ㆍ경기도 44.8%대31.1%로 야당이 우세했다. 특히 대전ㆍ충청 지역에서 여당을 견제하기 위해 야당을 찍겠다는 여론이 56.3%를 차지해 여당 지지율(22.2%)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정부와 여당의 설득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종시 수정 추진으로 싸늘해진 충청권 민심에 아직까지 냉기류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통적인 여당 텃밭인 부산ㆍ울산ㆍ경남에서도 견제론(33.6%)과 국정안정론(33.5%)이 박빙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 대구ㆍ경북은 49.9%대19.7%로 여당의 지지가 컸고 강원ㆍ제주에서도 39.3%대22.9%로 여당 지지자가 많았다. 다만 전체 응답자 중 27.5%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할지 잘 모르겠다고 응답해 국민 중 30%가 아직까지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별로 어느 후보를 선택하느냐가 선거의 승패를 가늠하는 열쇠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명박 정부, 국정 지지율 40% 초반 지속=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는 그동안의 여론 조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의 10.5%가 '매우 잘하고 있다'고 대답했으며 '대체로 잘하고 있다'는 31.3%를 차지해 총 41.8%가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년 11월 조사 때의 국정운영 지지도(39.2%)보다는 소폭 상승한 수치인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유치와 경기지표 호전 등으로 조금씩 나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강하다. 이에 반해 '전혀 못하고 있다(17.5%)'와 '별로 못하고 있다(37.4%)' 등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국민은 54.9%였다. ◇개헌 시기, 현 정부 임기 중 추진해야=이번 조사에서는 개헌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도 물었다. 현실적으로 2010년이 개헌을 추진할 수 있는 마지막 해라고 판단한 탓이다. 조사 결과 개헌 추진 시기를 묻는 질문에 '지방 선거 이후부터 이명박 대통령 임기 중 추진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31.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 대통령 임기 이후'가 22.5%로 뒤를 이었고 지방 선거와 상관 없이 빨리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도 15.7%에 달했다. 권력 구조 형태, 즉 개헌 방법에 대해서는 국민의 40.4%가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의 5년 단임 대통령제에는 30.9%가 찬성했고 이어 정ㆍ부통령제(9.5%), 이원집정부제(8.1%) 등의 순이었고, 의원 내각제는 5.7%에 그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