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통령 친인척관리 어떻게 하나

민원비서관등 4명이 1,200여명 전담관리김대중 대통령 처조카인 이형택 전 예금보험공사 전무의 보물발굴사업 문제가 터지면서 대통령의 친인척 관리체제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 대통령의 친인척 관리업무는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민원비서관실에서 맡고 있는데 이재민 민원비서관과 2명의 행정관, 여직원 1명이 다루고 있다. 관리대상 친인척 범위는 친족은 8촌까지, 외가 및 처가는 4촌까지로 총 1,200여명에 달한다. 주요 친인척으로는 김 대통령의 막내 동생인 김대현 한국사회경제연구소장, 이희호 여사의 둘째 오빠 경호씨의 장남인 이영작 한양대 대학원 석좌교수, 김홍일 의원의 장인인 윤경빈 광복회 회장, 김 의원의 처남인 윤흥렬 스포츠서울21 사장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친인척 가운데는 시장에서 노점상을 하는 등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도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인척 명단과 주요 인적사항 등은 모두 전산 입력돼 관리되고 있다. 이는 대통령의 친인척을 사칭해 이권에 개입하거나 청탁을 하는 등의 사례가 발견되면 곧바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대통령의 친인척 관리업무는 김영삼 정권 시절에는 총무수석실에서 맡아왔으나 국민의 정부 들어 민정수석실로 이관됐다. 지난 2000년 10월 옷로비 사건의 여파로 사직동팀이 해체되기 전까지는 사직동팀에서도 친인척 관련 업무의 일부를 맡기도 했으나 현재는 민원비서실이 전담하고 있다. 물론 각종 관계 기관에서도 친인척과 관련한 특별한 동향이나 문제점이 발견되면 관련 정보를 민원비서실에 통보해주고 있다. 청와대측은 대통령의 친인척과 관련해 특별한 비리나 문제점이 드러난 것은 없으며 따라서 친인척 관리를 위해 새로운 조직을 신설하거나 인원을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황인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