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이기주의로 몸살을 앓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전철 분당선 연장구간 건설. 현재 서울 수서역-분당 오리역(18.25km)간 분당선의 연장구간인 수서-선릉(6.6km)구간과 오리-수원(18.2km)간 등 2개 공사가 진행 중이나 해당 지자체와 주민의 끊임없는 민원제기로 일부 구간은 개통이 지연되고 있다.
선릉-수서간 복선전철사업은 94년부터 추진돼 오는 6월 개통을 앞두고 있다. 당초 계획된 역사에 개포역 2곳 등이 추가로 신설돼 선릉-수서 구간사이 역사만 개포1ㆍ2ㆍ3, 도곡, 영동 등 5곳에 달한다. 역사는 이른바 강남요지를 따라 세워졌다. 주변은 재건축아파트와 고급주상복합아파트가 즐비하다. `부자마을`의 거센 민원의 결과다.
특히 당초 계획에 없었던 개포1역은 95년 주민들의 집단민원과 강남구청의 신설요구에 밀려 시행자인 철도청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신설역 건립을 수용했다. 경제성이 낮았지만 도시계획시설변경 결정 등 인허가 협의가 지연돼 공사차질이 우려됐기 때문. 지난 99년 교통개발연구원이 신설을 요구한 역사들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개포1역은 순현재가치(NPV)가 –291억원으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릉-수서간 연장선은 오는 6월 개통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개포1역은 개통돼도 6개월이상 전철이 통과하는 역으로 남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철도청과 서울시가 신설역사 건설에 드는 추가비용 630억원의 분담여부를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어 골조공사만 마쳤을 뿐 마감공사는 진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전철수혜를 가장 크게 받는 분당주민들은 개통지연에 분개하고 있다.
분당주민들은 “지역 이기심이 개통지연을 불러왔고 결국 개통 후에도 온전한 전철이용이 힘들게 됐다”며“일부 또 다른 신설역 건립을 요구한다면 물리적인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막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연장구간인 오리-수원간 분당선도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오리-죽전(2.2km)구간에 대해 주민들이 지하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하화 되지 않을 경우 역사주변 고층아파트 주민들은 소음공해로 주거환경이 크게 악화될 것이란 주장이다.
하지만 철도청은 지하화할 경우 추가사업비만 1,300억원에 달하고 공사기간도 당초보다 3년 이상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지상역 건설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더욱이 신ㆍ구갈지구 등 죽전지구 주변 주민들은 죽전주민들이 자기 지역 이익만 내세워 공사를 지연시키고 있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어 지역간 갈등은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철도청 건설계획과 관계자는 “해당지역의 민원 및 항의가 끊이질 않고 있지만 건설이 지연될수록 사업비 부담만 늘어나고 결국 개통지연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주민들에게 돌아가게 된다”고 말했다.
<김상용기자 kimi@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