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쇄신] [갈라지는 대한민국] 진보·보수 극심한 이념대결 양상

교수·학생등 잇단 시국선언<br>보수단체선 반대성명 쏟아내

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고 이에 대한 보수단체들의 반대성명이 쏟아지면서 우리 사회가 다시 한번 극심한 이념대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3일 서울대 교수와 중앙대 교수들이 각각 민주주의의 후퇴를 우려하는 내용의 시국선언을 발표한 후 대학가에는 시국선언문 열풍이 불고 있다. 5일에는 대구ㆍ경북 지역의 17개 대학이 일제히 시국선언문을 발표했으며 한국대학생연합의 30개 대학 총학생회장과 42개 대학 2,386명의 대학생이 시국선언문 동참을 선언했다. 7일에는 서강대 교수, 8일에는 성균관대와 고려대 교수들이 각각 선언문을 내놓을 예정이며 연세대와 성공회대 및 10여개 대학 교수들도 시국선언문 발표를 계획하고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손호철 서강대 교수는 시국선언문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국민의 슬픔과 분노에도 정부는 자성의 기색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런 오만은 정권과 국민에게 불행한 결과를 가져다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노진철 경북대 교수도 “현 정부는 검찰과 경찰을 앞세운 폭압정치를 거둬들이지 않고 있다”며 “이것이 국민들의 저항을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대의 한 교수는 “시국선언은 지역과 정파, 진보와 보수를 떠나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다’는 현실에 공감하는 교수가 참여하는 것”이라 말했다. 대학가의 이 같은 시국선언 움직임에 청와대는 의미를 평가절하하며 아예 논평을 하지 않았고 보수 성향의 단체 및 논객들은 일제히 반대논평을 쏟아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3일 서울대의 시국선언에 대해 “서울대 교수가 1,700명인데 10%밖에 시국선언에 동참하지 않았다”며 논평 자체를 하지 않았다. 뉴라이트전국연합은 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에 대해 “시국선언을 한 대학 교수들이 오히려 민주주의를 왜곡한다”는 논평을 냈으며 자유기업원은 “정치적으로 편향된 교수의 집단행동이며 시국선언이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최근 잇따라 강경발언으로 화제의 인물이 된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는 “시국선언 교수는 MB에게 야단맞아야 한다”고 독설을 퍼부었으며 김대식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은 “시국선언은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며 “국민통합으로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