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상가분양업체 분양률 높이기 안간힘

'값 인하'등 파격조건 내걸어

일부 상가 분양업체들은 분양율이 저조하자 ‘분양가 인하’라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고 분양률을 높이기에 땀을 쏟고 있다. 정부의 ‘8.31’ 대책 이후 반사이익이 예상됐던 상가시장에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좀처럼 없자 분양업체는 자금조달 차원에서 극단의 처방을 내린 것이다. 특히 입주가 임박해 있는 상가의 분양업체 관계자들은 분양가 인하 방침에 마지막 기대를 걸고 있지만 결과를 낙관할 수 없어 노심초사하고 있다. 경기도 남부에 있는 A상가는 현재 최초 분양가보다 평당 20만~100만원 가량 내려 분양하고 있다. B상가는 상반기 보다 평당 700만원이나 파격적으로 낮춰 분양을 하고 있다. 수도권에 위치한 C상가도 평균 평당가 75만원을 인하, 입주를 앞두고 막바지 분양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일부에서는 분양가 인하에 대해 현재 상가시장에 형성된 분양가로는 투자 수익률이 보전되지 못할 만큼 거품이 두텁게 끼여있어 현실 수준에 맞춘 분양가 조정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경우는 중도금 무이자 혜택이나 분양가 선납할인을 통해 미분양 분을 해소해 왔다. 그러나 상가시장에서도 공급과잉과 경기의 장기 침체 등 누적된 악재로 인해 분양률이 저조하자 분양가 하향 조정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상가정보제공업체 상가뉴스레이다(www.sangganews.com) 박대원 연구위원은 “분양가가 인하된 경우 투자자들의 임대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상권 활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도 “그렇지만 투자자들은 분양업체가 제시한 인하 가격에만 현혹돼서는 안되며 반드시 상권분석을 통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