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토요산책] 제대군인 취업 지원하자

제대군인들이 전역 후 사회에서 취업을 한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특히나 10년 이상 복무한 장기복무자들은 더욱 그러하다. 장기복무 제대군인은 오랜 기간 동안 일반사회와의 격리 생활로 사회적응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전역 후 종전의 직업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직업에 종사해야 하므로 이들의 전직(轉職)은 갓 졸업한 젊은 연령층의 초기 취업이나 동일한 전문성을 갖고 단순히 직장만 옮기는 재취업과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이들의 전직 실태는 약 44%로 집계되고 있다. 반이상이 일자리 못찾아 매년 수 천명의 직업군인들이 사회로 나오고 있지만 이중 반 이상에 해당하는 사람이 한창 일할 나이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는 셈이다. 실정이 이런데도 많은 사람들은 이들에 대한 지원 당위성에 반문한다. 자신이 선택한 직업인데 왜 도와줘야 하나, 청년실업ㆍ노숙자 문제 등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는 시점에서 연금까지 받는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이 뭐 그리 시급하냐는 등. 비단 일반인뿐만이 아니다. 정작 이들을 채용해야 하는 기업에서는 군에서만 있었기 때문에 사회적응이 뒤쳐지지 않을지, 조직생활을 잘해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으로 채용을 기피한다. 이처럼 우리 사회 전반에는 제대군인 지원에 대한 공감대가 결여돼 있다. 하지만 이제는 제대군인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할 때다. 군인은 생명을 담보로 하는 직업이라는 점에서 다른 직업과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직업이다. 또 직업군인은 장기간 사회와 격리된 생활, 강도 높은 훈련과 직무상의 위험도, 잦은 이주와 자녀교육의 어려움 등 자기희생이 요구되는 특별한 복무 환경을 가지고 있다. 우리 모두는 튼튼한 국방을 원한다. 하지만 막상 일생을 바쳐 그 일에 종사한 직업군인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큰 모순이 아닐 수 없다. 대부분의 직업군인이 계급구조상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정년을 채우지 못하고 전역해야 하므로 우리 모두가 고용주의 입장에서 최소한 그분들이 사회에 원만히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오랜 시간 동안 군에서 우리 모두를 위해 희생한 제대군인들이 사회에 나와 적재적소에 쓰여지는 게 국가의 총체적인 인력 활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현상이다. 또한 그분들이 전역 후를 걱정하지 않고 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 안보 차원에서도 유용한 것이다. 더욱이 제대군인은 월등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 인적자원이다. 군복무 중 지휘관, 참모를 역임하며 체득한 리더십, 업무수행능력을 발휘하는 것은 물론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 조직에 대한 충성심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국가보훈처 제대군인지원센터에서 지난해 기업체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제대군인을 채용한 기업체 중 90% 이상이 향후에도 계속해서 군 출신을 채용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기업들이 서서히 제대군인들의 역량을 인정하고 있음이 드러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인사담당자들은 전문직무 관련 자격증, 지식 등은 제대군인들에게 갖춰져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교육기회 확대등 안착 도와야 따라서 제대군인이라는 인적자원이 사회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전역 전부터 직업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교육 기회가 확대돼야 하며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업무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지원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제대군인들은 정부의 ‘고용 명령’이라는 법적, 강제적인 근거로 취업했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 모두가 제대군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그들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제대군인 스스로는 기업체가 원하는 조건을 갖추도록 역량을 가다듬어야 할 것이고 우리는 그들이 군복무로 인해 불이익을 받게 해서는 안될 것이다. 제대군인들이 인력시장에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