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우량中企 5만5,000개 즉시 검색 가능

노동부, 신규 대졸자 채용사이트 '잡영' 개설<br>연봉·복리후생·실시간 지원자수등 정보 총망라<br>면접가이드·UCC 서비스등 콘텐츠 무료제공도



#1 서울 소재 중위권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는 K모군(27)은 올해 2월 졸업을 앞두고 있다. 품질 관리 분야에 관심이 많은 그는 많은 고민 끝에 중소기업에 취업하기로 결심했다. 극심한 취업난 속에서 좁은 대기업 문을 뚫는 것보다 우량한 중소기업에 취업해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그에게 최근 한 가지 고민이 생겼다. 중소기업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가 워낙 부족하다보니 어떤 기업을 택해야 할지 막막했기 때문이다. #2지방 소재 국립대를 올 8월 졸업할 B모(23)양은 무역업에 관심이 많다. 대학에서 무역학을 전공하고 있는 그는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곳이라면 굳이 대기업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는 중소기업이라도 그 기업이 건실한지, 업계의 평가는 어떻고 급여·복지 수준 등은 어떠한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면 기업을 선택하는 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크다. 중소기업에 취업하기로 마음먹었지만 막상 기업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실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는 청년들이 많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개가 급여복지 수준· 종업원 수·평균 근속년수ㆍ기업의 재무제표ㆍ경영현황 등 민감한 정보들이 대기업과 비교할 때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근 구인 중소기업과 구직 청년들 간의 정보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해 신규대졸자 채용 전문사이트인 '잡영(http://jobyoung.work.go.kr)을 개설하고 서비스에 들어갔다. 우량 중소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 구직자들은 이를 적극 활용해 볼 만하다. ◇우량 중소기업 DB 5만5,000개, 다양한 기업정보 확인 가능=기존의 노동부 취업 사이트인 워크넷과 달리 '잡 영'은 대졸 신규 채용자를 중심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다. '잡 영'은 청년ㆍ중소기업이 원하는 취업지원 및 훈련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로 단순한 기업정보 뿐만 아니라 인재상, 복리후생, 임금수준, 채용경향, 인사담당자 인터뷰, 기업의 재무제표 등 다양한 정보들을 망라하고 있다. 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기존에는 기업 정보를 간단하게 소개하는 수준에 그쳤다면 '잡 영'은 우수 중소기업을 선정해 구직자들에게 제공하고, 기업 정보 역시 구직자들이 원하는 것들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 큰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월 1일부터 서비스에 들어간 '잡 영'은 현재 우수 중소기업 5만5,000개의 DB가 구축돼 있다. 이들 기업 가운데 19일 기준 채용을 진행 중인 기업은 1,900여개에 달하고 채용 기업 수는 수시로 업데이트 된다. 이들 기업의 DB는 중소기업청의 DB와 연계돼 있어 구직자들은 안심하고 기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구직자들은 이 코너에서 업종과 지역별로 우수 중소기업을 검색할 수 있고 기업유형, 종업원수, 자산·매출 규모, 설립연도를 기준으로 원하는 기업을 찾을 수도 있다. 특히, '잡 영'은 기업 검색시 항목별 가중치와 유사정보까지 완벽하게 찾아주는 '소프트매칭'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구직자들의 수고를 덜어준다. ◇ 구직자 중심의 정보 제공, 다양한 취업콘텐츠까지=구직자 중심의 채용 정보가 제공되는 것도 큰 특징이다. 기업의 단순한 현황과 매출규모 뿐 만 아니라 연봉, 근속년수, 채용우대사항, 복리후생, 근무시간, 실시간 지원자 수 등 기업에 지원자가 가장 궁금해 할 만 한 정보들이 모두 정리돼 있다. 또 회사정보란에는 비상장 중소기업의 경우에도 회사의 경영 상태를 알 수 있는 재무제표가 공개돼 있어 구직자들이 기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 도움을 준다. 지난 11일 기준 '잡영'에 등록된 채용정보는 ▦우수중소기업 1,747건 ▦일반기업 2,234건 ▦대기업 35건 ▦벤처 384건 등 총 3,535건이다. 하루 평균 방문자 수는 1,530명으로 서비스 초기인 점을 감안하면 향후 채용등록 수와 방문자 수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잡 영'은 채용 정보뿐만 아니라 청년층 구직자가 직업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직업 정보 등 다양한 취업지원 콘텐츠도 제공한다. 구직자는 ▦취업활동 준비를 위한 취업가이드 및 UCC 서비스 ▦이력서, 자기소개서 샘플서식(올 2월말부터 서비스) ▦ 면접 가이드 및 채용행사 ▦공모전, 취업뉴스, 면접족보 ▦ 관심기업 채용정보 자동알림 서비스 등 다양한 취업관련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력서사진 수정 서비스는 '잡 영'을 이용하는 청년 구직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다. 홈페이지에 개인 회원으로 가입(무료)한 뒤 게시판에 수정이 필요한 자신의 사진을 올려놓으면 원하는 대로 수정을 해준다. 노동부 고용서비스 정책과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이력서∙자기소개서 클리닉, 기업별 취업노하우 등 다양한 커뮤니티(취업스터디) 게시판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청년들의 자발적인 정보 교환의 장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