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미국] "미경제 차세대엔진은 통신산업"

『통신산업은 21세기 미국 경제를 이끌고 갈 엔진이다』미국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는 8일 보고서에서 전자상거래가 하루가 다르게 큰 폭으로 성장, 이에 필요한 인프라 건설이 봇물을 이루면서 통신 서비스·설비 산업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규모는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지난 93년 미 정부는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인프라, 네트워크 설비 증가로 오는 2007년께 통신서비스·설비 업계의 매출이 3,0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미 지난해에 이같은 예상치를 넘어서 버렸다. 98년에 통신서비스·설비 업체가 올릴 수입은 자그마치 4,000억달러로 전망치를 거의 10년 앞당겨 이뤄냈다. 통신서비스·설비 업체의 수도 93년 이후 2배 이상 늘어 400개업체에 달하며 20만명 이상의 신규 고용효과를 나타내 이른바「황금알을 낳는 거위」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미 정부는 일찍부터 전자상거래의 폭발적인 시장성을 주목, 대대적인 지원책에 나섰다. 인터넷 면세법과 디지털 지적재산권법 등을 입안, 관련 법규 정리에 나섰으며 지난 96년에는「원거리통신 법안」을 제정해 시내, 시외, 케이블 업체간에 벽을 허물었다. 법안 제정후 통신업계는 치열한 사용료 인하 경쟁을 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미 다수의 업체들이 세계적인 경쟁력과 지배력을 차지, 향후 수년간 경제호황을 유지시킬 버팀목이 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또 전자상거래를 국제적인 이슈로 적극 부각시키고 있다. 세계 전자상거래 무대를 선점하는 동시에 자국 기업들의 진출시장을 넓혀주기 위해서다. 클린턴 대통령은 97년에 「범세계적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본틀」을 발표하는 등 자국업체들의 우월적인 위치를 십분 활용하도록 돕고 있다. 상무부도 전자상거래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교역대상국들에게도 통신 인프라 건설을 적극 촉구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와 통신시장의 선점이 단순한 기업이나 업종의 차원이 아닌 국가경쟁력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인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