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 3~4곳 공적자금 지원 타진

구조조정의 터널에서 벗어난 저축은행들을 완벽하게 살리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안정장치인 '금융안정기금'의 신청 마감이 오는 21일로 다가온 가운데, 3~4개 저축은행이 자본확충을 위해 정부의 공적자금 지원을 타진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책금융공사는 10일 "3∼4곳의 저축은행들이 신청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방의 중소 저축은행 한 곳은 공적자금 신청을 내부적으로 확정했으며 2~3곳의 중소 저축은행 역시 공적자금 지원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책금융공사는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다음주 중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금융안정기금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금융회사에 대한 선제적인 자금 지원을 위해 설치 근거를 마련한 공적자금이다. 금융감독원의 경영진단을 통과한 저축은행처럼 정상적인 금융회사에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안정기금 신청 자격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10%인 저축은행으로 지난 6월 말 기준 24곳이 해당한다. 지원을 받은 저축은행은 정책금융공사와 약정(MOU)을 맺고 배당과 임직원 급여 등에 제약이 따른다. 지원 이후 BIS 비율이 하락하는 등 경영상태가 악화하면 정책금융공사의 경영개선 지도를 받게 된다. 그러나 업계는 기금을 지원받을 경우 경영권에 간섭을 받게 되는 동시에 경영상태가 '불안한 회사'라는 낙인이 찍힐 것을 우려해 지원을 꺼려왔다. 실제로 지난달 1차 마감에서는 기금을 신청하는 곳이 한 군데도 없어 신청기한을 21일까지 연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