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차이나 리포트] '신성장 동력' 풍력산업 과잉 투자 몸살… 줄줄이 도산 위기

풍력터빈 가격 하락세속 과열 우려로 대출은 규제… 자금난 못견뎌 폐업 속출<br>관련 설비업체 80여곳중 내년까지 70개 사라질 판

중국의 과잉 설비는 비단 전통산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중국이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야심차게 추진해 왔던 풍력산업도 과잉·중복 투자로 무더기 도산 위기에 처해있다. 사진은 신장자치구 골드윈드 풍력터빈 유한공사 전경.

상하이 둥하이 풍력생산 현장.

중국이 전통 산업뿐 아니라 신흥 전략산업에서도 과잉 투자로 몸살을 않고 있다. 중국에서 철강, 시멘트 등 전통 제조업의 공급 과잉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중국 정부가 국영기업 중심으로 이들 산업에 집중 투자하며 고속 경제성장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과잉ㆍ중복 투자로 재고가 쌓이며 후유증 또한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대표적으로 철강의 경우 국내 공급이 넘쳐 해외로 저가에 밀어내기 수출이 이뤄지면서 외국과의 무역마찰이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다. 여기다 중국이 신성장 경제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야심 차게 추진해 왔던 풍력산업도 과도한 투자로 줄 도산 위기에 처해있다. 현재 중국의 풍력발전 설비업체는 80여개. 이중 올해와 내년 사이에 자금 부족에다가 시장 경쟁에서 도태되며 70여 개가 줄도산하고 자금력이 있고 투자 능력 있는 10여개 업체만 살아남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05년부터 친환경 산업인데다 미래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풍력산업을 선정하고 세금 감면, 토지 저가 공급 등 각종 정부 지원을 통해 풍력설비 산업을 지원해왔다. 하지만 이후 장밋빛 미래만 보고 우후죽순 업체들이 뛰어들며 과잉 투자와 치열한 시장경쟁 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 대부분 기업들이 자금 부족과 매출 부진으로 폐업 위기에 처해있다. 중국 장쑤성 우씨의 프린터 제조업체인 바오난은 2005년 신성장ㆍ친환경 산업이라는 낙관적 전망에 매료돼 풍력발전 설비 사업에 뛰어들어 지난 6년간 7,000여 만위안을 투자했지만 매출 부진과 자금난에 직면해 사업을 포기하고 공장 매입자를 구하고 있다. 국영기업인 하얼빈 에어컨 유한회사도 1년 전 풍력발전 분야에 2,600여 만위안을 투자했지만 사업성이 없다는 판단하에 지난 2월에 투자금 회수를 포기하고 사업을 접었다. 풍력발전 설비 산업이 이 지경이 된 데는 기본적으로 풍력발전소 수요보다 턱없이 많은 풍력발전설비 업체들이 들어서 공급 과잉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가 중국정부가 경기과열을 위해 신용 축소에 나서면서 은행대출을 조이자 그렇지 않아도 자금사정이 빠듯한 영세 풍력발전 설비기업의 목줄을 죄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에너지 연구소의 리쥔펑 부소장은 "올해부터 시작한 12차 5개년 계획기간 동안 풍력발전 수요 증가율은 두 자릿수로 떨어지는 반면 풍력터빈 공급은 연간 100%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여 풍력 터빈시장에 대규모 줄도산 및 통폐합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몇 년 전만 해도 풍력발전 터빈의 공급량이 많지 않아 풍력터빈 제조업체들이 가격 결정권을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시장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는 수급 역전 현상이 초래됐고 풍력 터빈 가격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지난 2008년 킬로와트당 6,500위안하던 풍력 시스템 가격은 지난해 말 4,000위안으로 떨어졌고 최근에는 3,200~3,400위안까지 급락하며 원가에도 못미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풍력터빈을 치열한 입찰 경쟁을 뚫고 팔더라도 제때 수금을 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중국 3대 풍력발전 설비업체인 시노벨의 매출채권은 지난해 말 89억7,200만 위안에서 3월말 106억4,700만 위안으로 늘었다. 시노벨의 2009년말 매출채권이 39억1,900만 위안에 불과했었다. 이는 풍력발전의 공급 과잉 현상이 가속화하면서 풍력발전소의 구매 발언권이 갈수록 세지고 있는데다 정부가 공급과잉을 우려해 풍력발전 관련 은행 대출을 옥죄면서 풍력 발전소의 자금 여력이 그만큼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풍력발전 시장이 시장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과도한 성장세, 정부의 긴축 정책 등으로 내우외환의 시기를 맞고 있다며 대대적인 구조조정 시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