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보험가입 절반이상 '노후대비'가 목적

대한생명, 설계사 512명 설문

최근 많은 사람들이 노후보장을 위해 보험에 가입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대한생명이 21일 자사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보험설계사(FP) 512명에게 ‘IMF 10년, 보험의 변화상’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지난 97년 이전에는 질병과 재해보장 등 단순한 보장설계가 보험가입의 주목적이었지만 최근에는 노후대비로 가입목적이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외환위기 이전의 가입목적은 질병보장이 51.3%로 가장 많았고 활동기 재해보상(27.5%), 재테크ㆍ저축(20.0%) 등이 뒤를 이은 반면 노후대비 목적은 0.9%에 그쳤다. 하지만 지금은 노후대비 목적이 53.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질병보장(28.6%)과 재테크ㆍ저축(7.4%), 활동기 재해보장(3.7%)은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 이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은퇴시기가 빨라지면서 10년 전에 비해 노후생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고객들의 선호상품은 97년에는 질병보장상품이 46.5%, 재해보장보험이 39.1%로 인기를 끌었지만 이제는 종신ㆍCI(치명적 질병) 보험이 7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한생명은 이와 함께 설계사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10년 전에는 두터운 인맥(59.5%)이 가장 중요했지만 최근 파생상품 등 상품구조가 복잡해지면서 금융 전문지식(57.5%)이 필수요소로 자리잡았다고 분석했다. 한편 과거 보험 아줌마(82.2%)로 총칭됐던 설계사의 이미지는 최근 들어 재정설계사(44.2%), 고소득전문직(37.7%)이라는 평가가 주류를 이뤄 바뀐 사태를 그대로 반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