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2015년에는 5대 기계강국"

정부와 산업계는 2015년 우리나라 기계산업이수출 500억달러, 무역수지 200억달러를 달성해 세계 5대 기계선진국으로 도약한다는비전을 마련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함께 노력키로 했다. 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강신호) 주최로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5 기계산업 비전과 발전전략'에서 정부와 업계 발표자들은 이와 같은 비전을 제시하고이의 달성을 위한 발전전략 및 정책과제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컨설팅업체 AT커니의 이혁수 이사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한국 기계산업 발전전략' 주제발표를 통해 세계 기계산업은 그동안 견인차 역할을 해온 중국경제 성장의둔화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건설을 비롯한 수요산업의 성장 등에 힘입어 2015년까지연평균 3.6%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등 신기술 발달 및 융합과 소득수준 향상 및 노령화 등으로 가정용 로봇과 함께 노동력 대체가 가능한 새로운 기계의 개발과 마이크로 공장 등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이사는 앞으로 한국 기계산업은 △개도국의 중급기술 시장 △기계제조 이외에 부품, 수리 ,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시장 △개도국 환경관련 기계류 시장 △중국원자력 발전설비 시장 등에서 추가성장의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산업자원부 정동희 산업기계과장은 '2015년 기계산업 발전전략' 주제발표에서 '5대 기계 선진국' 도약을 위해 기계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제조혁신을 위한 신기술지원확대, 부품 소재산업 육성 및 공급 안정화, 지능형 로봇의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화를 중점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과장은 이와 함께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대비한 기계산업의 대응방안 수립과 국내 기계업체들의 기계서비스 시장 진출 지원, 지역진흥사업 중 기계관련 분야에 대한 지원규모 확대 등 방안에도 역점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