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미 FTA 위험성 말하고 싶었는데…"

정태인 前 비서관 사과 해명


몸담았던 참여정부에 연일 독설을 날려 거꾸로 비판대에 오른 정태인(사진) 전 청와대 비서관이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한미 FTA의 위험성이었다”며 사과와 해명이 담긴 글을 썼다. 정 전 비서관은 7일 자신의 인터뷰를 보도한 인터넷 언론에 “비보도하기로 한 말들이 실려 한미 FTA가 아닌 주변적 문제들이 중심이 돼버렸다”며 ‘견지망월(見指望月ㆍ달을 가리키는데 손가락만 본다)을 자초한 나를 자책한다’는 반박문 성격의 글을 실었다. “한미 FTA는 노무현 대통령의 조급증 때문, 한미 FTA 성사되면 정동영 의장은 대통령 못돼” 등의 그의 발언이 최근 보도되면서 “대통령의 전 비서관이 대통령의 시책을 정면으로 거스르며 편을 가르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정 전 비서관은 이에 대해 “문제의 말들은 ‘술집에서나 할 얘기’를 주변정황으로 한 것으로 비보도를 지켜줄 것으로 생각했다” 면서 “다만 이로 인한 문제는 분명 내 잘못”이라고 먼저 사과했다. 그러면서 인터뷰에 나선 진의는 “한미FTA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계기가 되기를 바랐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미 시작된 한미 FTA를 어떻게 우리에게 유리하게 이끌고 갈 것인가에 사회와 언론이 관심을 가져주기 바랐다“고 말했다. 정 전 비서관은 “당분간 쏟아질 비난은 감내하겠지만 한미 FTA 협상이 충분히 공개되고 국회에서, 또 시민사회에서 진지하게 토론돼 국익과 동북아 공동체 형성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