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10월14일] <1215> 국제여단


자유민주주의 수호. 단 하나의 가치를 지키려 세계의 젊은이들이 목숨을 걸고 스페인 내전에 뛰어들었다. 1936년 선거로 뽑힌 ‘인민전선’을 전복하려 스페인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세계 53개국의 젊은이들이 산맥을 넘고 바다를 건넜다. 시발점은 1936년 10월14일. 프랑스인 500여명이 스페인에 도착하면서 시작됐다. 보수도 없이 자원한 국제의용군은 프랑스 9,000명을 비롯, 이탈리아 3,350명, 독일ㆍ폴란드ㆍ소련 각각 3,000명, 미국 2,800명, 영국 2,000명 등 모두 3만3,750여명. 빈약한 무장에도 반란군의 공격에서 마드리드를 지켜낸 이들은 곧 ‘국제여단’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국제여단에는 시대의 좌절과 희망이 섞여 있었다. 세계 대공황으로 현실에서 일감을 얻지 못한 젊은이들은 자유라는 명분에 몸을 던졌다. 세계의 지성도 몰려들었다. ‘인간의 조건’과 ‘희망’을 남긴 작가이며 프랑스 문화장관을 지낸 앙드레 말로와 1971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칠레의 파블로 네루다, 유고슬라비아의 티토가 국제여단 소속 병사로 총을 들었다. 조지 오웰은 국제여단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동물 농장’과 ‘1984년’을 썼다. 소설과 영화로 유명한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도 미국인 대대의 일원으로 싸운 헤밍웨이가 캘리포니아대 경제학과 조교 출신인 로버트 조던의 참전과 죽음을 작품화한 것이다. 파시스트 독일과 이탈리아가 지원하는 반란군의 무력 앞에 절반이 죽거나 다치거나 실종된 국제여단은 인류정신사의 횃불로 남아 있지만 한국 땅에서는 낯설다. 국제여단이 지키려 한 민주정권이 인민전선이었던 탓이리라. 내전의 상처와 ‘실패한 국제여단’을 묻어뒀던 스페인에서는 최근 재평가가 한창이다. 역사의 진실은 일시적으로 덮더라도 잠재울 수는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