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차 산업 「IMF 한파」 동사위기

◎특소세·교통세 인상/수입선다변화 해제/부실사 보조금 금지/내년시장 20% 위축,일제차 잠식 가속 우려/기아자 향방싸고 3자인수공방 재연될수도 국제통화기금(IMF) 체제로 인해 국내 자동차산업이 사면초가에 몰리며 고사위기에 놓여 있다. 5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IMF가 자금지원의 조건으로 내세운 ▲특소세 및 교통세 인상 ▲수입선다변화제도 조기 해제 ▲수입차 형식승인 개선 ▲부실기업 정부보조금 금지조항 등은 하나같이 국내 자동차산업의 기반을 송두리째 흔들 수 있다며 이같은 방침이 그대로 실행되면 국내 자동차산업 기반은 완전히 붕괴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올해 내수가 지난 8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이는 등 심각한 불황을 겪고 있는 가운데 IMF조치가 적용될 경우 판매부진은 더욱 심화되고 외제차 수입이 크게 늘어나면서 사상최악의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따라 업계는 자동차공업협회 회장단이 중심이 돼 수입선다변화 조기해제 반대, 자동차 수요억제책 개선 등을 관계당국에 요청할 방침이다. 업계에서 가장 우려하는 것은 특소세인상과 수입선다변화 제도의 폐지.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최근 판매부진에 따른 무이자할부 및 할인판매 등으로 국내업체들이 특소세 인상분을 자체 흡수할 능력이 없다』며 가격인상에 따라 판매부진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또 업계는 휘발유가격이 환율상승에 따라 내년부터 ℓ당 1천원을 넘어서는데다 추가로 교통세가 인상되면서 자동차 판매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의 고위관계자는 『IMF 파장이 본격화되면 내년도 국내 자동차시장은 올해보다 20% 정도 위축될 것』이라며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구조조정 바람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입선다변화제도의 조기해제(98년 폐지 전망)에 따른 일제차의 수입자유화도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기아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이 제도가 내년에 폐지되면 당장 2만대, 3년 뒤에는 6만∼7만대로 일제차가 전체시장의 4% 정도를 점유할 것』으로 분석했다. 현재 외제차의 점유율은 1%에 달하고 있다. 업계는 일제차가 국내업체들의 이익의 원천인 중대형차 시장을 공략하면서 가뜩이나 열악한 수익기반을 더 악화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대우경제연구소는 『일본차의 경우 중대형차는 국산차에 비해 가격경쟁력도 갖추고 있으며, 이렇게 되면 일본으로부터의 기술이전도 불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부실기업에 대한 정부의 개입금지는 어렵게 안정을 찾은 기아자동차의 향방을 불투명하게 하면서 국내외 업체간에 3자인수 공방이 재연,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위기에 대해 『서비스 강화, 미니밴 등 선진국 열세차종 개발, 수출확대와 정부의 수요진작책, 외제차에 대한 쿼터제한 등 사전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원론밖에는 내놓을 게 없다』고 말했다.<박원배·정승량 기자>

관련기사



정승량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