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철강산업 대대적 수술

대형화ㆍ외자투자제한등 新철강정책 발표<br>중소형업체 통폐합 ‘빅10 체제’로 재편<br>공해 심한 업체 문닫고 신규공장 설립금지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중소 철강업체들을 대대적으로 통폐합하는 구조조정에 돌입한다. 또 철강업종을 국가의 주력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외국 자본의 투자를 제한, 외국 기업의 경영권 획득을 금지키로 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20일 철강산업의 △대형화 △외국 투자 제한 △환경규제 등을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신(新) 철강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지난 4월 국무원 상무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으며 12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승인을 얻었다. 새 정책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중소형 철강업체를 통폐합해 오는 2010년까지 연산 3,000만톤 규모의 대형 철강업체 2개사와 연산 1,000만톤 규모의 소수 업체로 재편한다. 이를 통해 2010년까지 10대 철강업체가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50%로 높일 방침이다. 이는 한국의 포스코, 일본의 니폰스틸 등 해외 대형업체들과 효율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지금 중국에는 264개의 철강생산업체가 난립한 상태이며 15대 철강업체의 생산비율이 전체의 45%에 불과하다. 중국 정부는 또 외국 철강업체의 투자를 제한, 외국 업체가 경영권을 가질 수 있는 수준까지 투자하는 것을 금지하기로 했다. 이는 중국 철강업체의 경영권을 외국업체가 가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한 방편으로 해석된다. 중국 정부는 이와 함께 공해가 심하거나 석탄 사용이 과도한 공장을 폐쇄하고 신규공장에 대한 투자도 늘리기도 했다. 이 밖에 현지업체들이 철광석ㆍ망간ㆍ니켈 등 원자재를 해외에서 조달하도록 장려하고 에너지 소비가 많은 철강제품의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 중국의 철강 등 금속수출은 올 들어 지난 5월까지 전년 동기보다 171% 증가한 940만톤에 달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새 철강정책의 효과가 이른 시일 안에 나타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도이체방크의 제임스 클라크 애널리스트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철강업체의 생산량을 반으로 줄이는 등의 구체적인 조치가 없는 한 생산량 감축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국의 철강생산량은 세계 철강생산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지난 4년간 두 배로 늘었고 올해에도 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생산이 느는 가운데 국내수요가 감소하면서 철강 수출을 늘린 결과 국제적인 철강가격 하락 및 대형 철강업체들의 감산을 불러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