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계硏, 소형 태양열 해수담수기 개발

섬이나 오지, 저개발 국가 같이 상수도 인프라가 없는 곳에서 태양열, 폐열 등을 이용해 손쉽게 담수를 생산할 수 있는 적정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에너지플랜트안전연구실 박창대 박사팀이 태양열 집열기, 축열조가 필요 없는 상압 운전 방식의 태양열 복합열원 다중효용 해수담수기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해수담수기는 먼저 태양열로 해수를 증발시키고 증발된 증기의 응축 잠열을 회수해 증발 고정에 재투입하는 다중효용 방식을 채용했으며, 태양열 이외에 발전 후 버려지는 폐열을 활용해 효율을 높였다.

관련기사



특히 기존 태양열 해수담수기의 필수요소인 태양열 집열기, 축열조, 진공장치가 필요없으며 담수생산능력이 하루 18㎏/㎡로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 보수의 부담이 없어 섬이나 해안지역, 저개발 국가 등에서 사용 가능하다.

또 태양열뿐만 아니라 소형발전기의 배기가스 폐열 같은 열원으로도 복합 운전할 수 있다. 태양열과 5㎾급 발전기의 배기가스 폐열을 같이 이용할 경우, 담수생산은 하루 50kg/㎡까지로 증가한다. 태양열이나 폐열 각각 단독 열원으로도 운전이 가능해 유연한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박창대 박사는 “이 태양열 해수담수기는 1일 5톤 미만의 소용량 설비로 구성할 때 다른 방식들보다 경제적이며, 분산형 소용량 해수담수 시장을 창출하고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담수화 설비 설치가 어려운 섬이나 오지에 도움이 될 적정기술로 저개발 국가의 해외 원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해외특허 1건을 포함, 특허 11건을 출원한 상태며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을 통해 본격 상용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