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자금안정 특단대책 촉구/재계 “기아사태 경제혼란 최소화”

◎어음재할 확대·해외차입 완화/부품협력사 특별금융 지원을/오늘 30대그룹 기조실 재무팀장회의재계가 기아사태에 따른 금융시장 기능마비와 자동차산업의 경영난 가중 등 경제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에 특단의 자금안정대책을 요구하는 등 범재계차원의 대책마련에 나섰다. 재계는 대기업들의 연쇄부도로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기피하는 사례가 확산되면서 자금시장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고 보고 한국은행의 상업어음 재할인한도를 확대하고 해외차입 규제를 대폭 완화해줄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기아자동차와 부도위기에 몰려 있는 기아 관련 중소부품협력업체에 대한 한은의 특별금융지원 등을 적극 강구할 것도 요구하기로 했다. 전경련은 22일 상오 기아사태에 따른 금융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삼성·현대·LG·대우 등 30대그룹기조실 재무팀장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재계차원의 금융시장 안정화 및 경영난 해소방안을 마련,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30대그룹 임원들은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기업들이 자구노력에 총력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정부가 차입경영 억제 등 대기업 규제책을 양산하는 것은 경영난 극복을 어렵게 한다며 이를 재고해줄 것도 요청하기로 했다. 특히 혼란에 빠진 자금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한국은행의 상업어음 재할인한도를 확대하고 해외자금 조달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규제도 철폐, 해외신인도가 높은 기업들의 해외자금조달을 원활히 해줄 것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기조실 재무팀장들은 ▲정부의 신용보증기금 출연 확대 ▲부도방지협약에 가입한 부실기업들에 대한 금융기관의 채권행사 유예기간 연장 ▲차입금의 대출금전환 등도 검토해줄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미국 연방정부의 경우 80년대 존립위기에 처했던 크라이슬러를 위해, 독일정부는 경영난을 겪고 있던 벤츠의 회생을 위해 자금지원을 한 선례가 있다는 점을 부각시킬 방침이다.<이의춘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