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한반도 위기 국면 전환, 이번 주가 고비다

한반도에 모처럼의 대화 국면이 조성되고 있다. 북한의 전쟁 위협으로 고조된 위기가 여전하지만 다각적인 대화 노력이 나온 덕분이다. 낙관론도 조심스레 고개를 드는 분위기다. 북핵을 용인할 수 없다는 기본 입장은 확고하게 지키면서도 대화 의지를 밝힌 정부의 성숙한 대응이 성과를 거두기 바란다.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들어봐야 한다'며 대화를 중시한 점이나 한국을 방문한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이 이례적으로 한미연합사를 비롯한 주한미군 시설을 둘러보지 않았다는 사실은 한미 양국의 대화 노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영어연설이라는 관례를 깨고 우리말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북한의 자제를 호소했다. 중국의 관영 언론매체들까지 북한의 태도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관련기사



이제는 북한이 화답할 차례다. 북한 당국은 특히 지난주 말 대한민국 공권력이 보수민간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를 제지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경찰이 가스총까지 들이대며 이들 단체의 비공식 행사를 직접 저지한 것은 처음이다. 우리 정부의 대북 대화 의지가 그만큼 강하다는 얘기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일원이라는 책임감과 자존심을 위해서라도 대화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군사적 모험의 중단과 더불어 사실상 폐쇄 상태인 개성공단을 정상화하는 수순이 필요하다. 개성공단 입주사 대표들의 방북 성사 여부와 그 후속 결과는 국면 전환의 중대 계기가 될 수 있다.

우리 내부에서도 해야 할 일이 적지 않다. 북한을 자극할 불필요한 언사는 금물이다. 박 대통령이 대화 의지를 밝힌 직후 나온 국무총리의 엇박자 발언 같은 경우가 반복된다면 우리 자신은 물론 국제적 평화 노력에도 누가 될 뿐이다. 북한이 과연 무수단 미사일에 연료를 주입하지 않은 채 큰소리만 치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한번 주입한 액체연료의 유효사용 시한은 통상 7~10일이라는 점에서 이번주가 고비다. 말을 아끼고 경계에 만전을 기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