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장기 실업자 5명중 1명 “구직 단념”

고학력 청년 실업 난과 조기 퇴직 등의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장기 실업자 5명중 1명 가량이 구직을 단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기실업자중 연령대별 구직단념 비율은 30대가 25%, 20대가 15%나 되는데다 전문대졸 이상 고학력자도 20%를 넘어서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김장호)이 낸 `장기실업자의 재취업 촉진을 위한직업능력개발 방안`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7월 전국실업극복단체연대회의소속 전국 27개 구직상담 단체를 방문한 장기 실업자 403명을 4개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구직단념형`이 19.5%로 집계됐다. 구직단념형은 6개월 이상 실업자이면서 조사 당시 일자리를 구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 상태에 들어간 경우다. 또한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상태에 있는 `지속실업형`이 33.2%, 퇴직 후 6개월 이내지만 지난 1년간 2회 이상 반복실업 경험이 있는 `반복실업형`이 20.3%, 6개월 이상 실업상태에 있다가 임시ㆍ일용직으로 재취업한 `비정규직 재취업형`은 22.9%로 각각 조사됐다. 특히 연령대 별로 구직단념 비율을 보면 30대가 25.0%, 40대는 17.5%, 50대 이상은 16.2%를 각각 차지했으며, 20대의 경우도 15.0%나 됐다. 학력별 구직단념 비율도 전문대졸 이상 21.4%, 중졸 이하 20.3%, 고졸이하 17.6% 등으로 고학력 장기 실업자들의 구직 포기가 비교적 많았다. 구직단념자가 일자리를 구하지 않는 이유로는 `일자리를 찾을 수 없거나 없을 것 같아서`가 42.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사ㆍ육아 18.2%(전체 여성), 기능ㆍ학력ㆍ능력 부족 12.1%, 여성.고령자에 대한 차별 10.6%, 건강상 이유 9.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비정규직 재취업형을 제외한 나머지 장기실업자들은 자신의 일자리 전망에 대해 구하기 힘들 것이다(28.6%),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이전보다 못한 직장에재취업할 것 같다(22.4%), 이전과 유사한 직장이라도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다(22.1% ) 는 등 비관적 전망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용호기자 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