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불법체류 외국인 대부분 귀국 포기

2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반월공단에서 만난 방글라데시 출신 랴키(30)씨는 입국4년된 외국인근로자들에 대해 강제출국토록한 한국정부의 정책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7년전 산업연수생으로 입국했다 불법체류자가 된 랴키씨는 자신과 같은 장기체류자들을 강제출국시키는 것은 한국의 경제발전이나 자신들을 고용한 기업에도 결코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절대 귀국하지 않을 겁니다. 15일까지 일한 뒤 단속이 시작되면 피했다가 법이 바뀌거나 단속이 잠잠해질 때쯤 다시 일을 시작할 겁니다”라고 랴키씨는 말했다. 반월공단 판금 공장에서 일하는 스리랑카 출신의 에드리 싱허(36)씨 역시 귀국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에드리씨는 “아내와 딸을 두고 한국에 온 지 7년이 됐으나 그동안 변변한 직장을 구하지 못해 별로 돈을 벌지 못했다”면서 “귀국해서 조그마한 집이라도 마련하려면 지금 귀국해서는 안된다”고 귀국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처럼 자진귀국 대상인 입국 4년 이상 외국인 근로자들의 상당수가 귀국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 3월 이후 자진해서 출국한 4년 이상 불법체류자는 1일 현재 고작 4,600여명으로 전체 대상인원 7만8,000여명의 5.8%에 그치고 있다. <고광본기자 kbgo@sed.co.kr>

관련기사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