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박근혜 당선인과 정봉주 전 의원


새해를 맞아 많은 국민이 새로운 계획, 새로운 마음으로 한 해를 힘차게 시작하고 있다. 2013년에 빼놓을 수 없고 행보가 주목되는 인물로 필자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정봉주 전 의원을 꼽고 싶다. 두 사람은 묘한 공통점이 적지 않은데 우선 성별은 다르지만 정치인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 우리나라의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정 전 의원은 지난 2012년 크리스마스 이브 자정에 만기 출소해 대한민국 최초로 형기를 다 채운 ‘만기출소 정치인’이라는 진기록을 남겼다.


“법은 만인 앞에 평등하다”는 경구가 무색하게 해방 이후 구속 수감된 수많은 정치인 중 형기를 다 채운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은 적잖은 씁쓸함을 남긴다. 박 당선인은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비롯해 부녀 대통령, 최초의 독신 대통령, 첫 이공계 출신 대통령 등 화려한 이력으로 대한민국 정치 역사의 새로운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관련기사



완전 다른 처지에서 신기록을 세운 두 사람은 2007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BBK 의혹을 제기하며 정치적 공동 운명체로 묶인 적이 있다. 하지만 이후 박 당선인과 정 전 의원이 부딪힌 세상은 전혀 달랐다. 정 전 의원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수감돼 사면 복권 없이는 향후 10년간 공직 선거에 출마할 수 없게 돼 정치적 생명이 바람 앞에 촛불이다. 반면 박 당선인은 집권 여당의 대선 후보에 이어 18대 대통령으로 꿈을 이루며 생애의 절정을 맞고 있다.

누구에게나 공평하다는 법이 비슷한 상황에 있던 두 사람 중 한 사람에게만 가혹한 잣대를 들이댔다는 의심과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됐다. 평소 원칙과 신뢰를 강조해온 박 당선인은 그 누구보다 법률의 형평성을 재정립하는 데 앞장 설 무거운 책임이 있다. 진실 규명을 위해 정치적 희생을 감수했던 정 전 의원이 요즘 거론되는 사면 복권에 비리로 단죄를 받은 대통령 측근과 달리 이름을 올리는 것이 필요한 이유다.

박 당선인은 나아가 야당과 시민단체가 과거 자신이 언급했던 BBK 관련 의혹의 규명에 나설 때 이를 회피하거나 감추려 해선 안 될 것이다. 그가 이달 1일 신년회에서 언급한 “과거를 모두 털고 새 미래를 창출하자”는 구호처럼 과거를 어둠으로 덮는 것이 아니라 인정하고 국민의 신뢰 속에 새 출발하는 대통령이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