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인터뷰] 장영철 캠코 사장 "저축銀 PF, 정상화 적극 추진"

정상화 가능사업장 적극 발굴<br>마케팅·신규투자 유치 나설것<br>쌍용건설 매각 하반기께 가능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사업성이 있는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해 직접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장영철(사진) 캠코 사장은 17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저축은행의 PF 부실채권 처리 방향과 관련해 "PF 개발을 직접 추진하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한지 검토해보고 있다"며 "리스크가 높고 공공기관이 어디까지 할 수 있는가 따져봐야 하지만 시장 실패에서 발생한 일인 만큼 (공적 영역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캠코는 PF 직접개발 문제를 정책 당국과 협의할 방침이다. 캠코가 저축은행의 PF를 직접 개발하겠다고 나선 것은 환매조건부 계약기간인 3년 안에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 부실채권에 대한 제 값을 챙겨 받기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국 386개에 달하는 사업장 전수조사만으로는 저축은행 PF 부실을 정상화할 수 없고 설사 채권을 매각하더라도 사업을 일정 수준 궤도 위에 올려놓아야만 공적자금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다는 것도 이유다. 캠코는 지난 수년간 나라키움 빌딩 개발, 저축은행 일부 사업장 정상화 등으로 PF 개발 노하우를 쌓아왔다. 장 사장은 "공사 내 전문인력을 집중 투입해 마케팅ㆍ신규투자유치 등 업무를 전담시킬 것"이라며 "이런 노력으로 저축은행 PF 대출 문제의 연착륙을 실효성 있게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금융사가 직접 부동산을 개발하는 것은 현행법상 금지돼 있는 만큼 PF 시행을 위한 별도의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하거나 공사대금 대출 등 PF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의 '우회수단'을 통해 시행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캠코가 올해 추진할 예정인 쌍용건설 매각은 빨라야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건설경기가 워낙 침체돼 있는 만큼 건설사 매물이 시장에서 제 값을 받기는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장 사장은 "건설경기가 불투명한데다 우리사주조합(ESOP)의 우선매수권도 고려해야 해 다른 인수합병(M&A) 물건보다 변수가 하나 더 있다. 상반기에 매각하려면 이미 구체적으로 얘기가 됐어야 했다"며 이른 시일 내의 매각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다만 쌍용건설에 대해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고 해외 건설시장에서 쌍용건설 만한 시공능력을 갖춘 업체가 많지 않다"며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장 사장은 캠코의 법적 근거를 새롭게 물갈이하는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서민들의 신용회복 지원을 위한 7,000억원 규모의 신용회복기금은 아직까지 법적 토대가 없고 '금융기관 부실자산 등의 효율적 처리 및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설립에 관한 법률'이라는 법 명칭도 지난 1962년 이후 변화가 없다. 장 사장은 "부정적인 의미가 강한 금융기관 부실자산이라는 말을 법에서 삭제하고 한국의 자산을 관리하는 공사 취지와 시대에 맞는 용어를 대신 쓸 것"이라고 공사법 개정 취지를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