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권선물거래소, 해외기업 상장유치도 박차

■ 증권선물거래소 '글로벌화 전략'<br>中 12社 국내社와 주간사 계약 잇달아<br>카자흐스탄·베트남과도 양해각서 체결<br>동북아 금융허브 건설 행보 가속화

증권선물거래소(KRX)가 글로벌화 전략의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해외기업 상장 유치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부터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는 중국기업 상장추진 사업은 중국 당국의 최종 승인만 남아있는 상태여서 내년 상반기께 첫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거래소는 베트남, 카자하스탄 등과도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아시아 각국의 기업 유치를 통한 동북아 금융허브 건설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기업의 경우 현재 중국증시에 상장된 2곳과 비상장 10곳 등 모두 12개 기업이 국내 증권사와 주간사 계약을 맺고 국내 상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지난 20일에는 중국 석탄가스회사인 ‘산시우왕(山西禹王)매탄기화주식회사’ 가 굿모닝신한증권과 KRX상장을 위한 주간사 계약을 체결했으며 내년 하반기 국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에도 20개 정도의 중국 기업이 주간사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거래소측은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거래소가 2005년부터 베이징과 샤먼 등을 돌며 100여개 기업을 상대로 13차례에 걸쳐 상장 설명회를 개최한 데 따른 것이다. 한창우 증권선물거래소 상장유치팀장은 “역외 지주회사의 상장을 허용한 것을 비롯해 수시공시사항을 대폭 축소하는 등 현재 중국기업이 한국증시에 상장할 수 있는 여건은 충분히 조성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거래소는 중국 외에 베트남, 카자흐스탄 기업의 상장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옥치장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은 지난 1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레딘 롱 국가자본투자공사 부사장과 베트남기업의 한국상장시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베트남에서는 현재 70여개 기업을 상대로 한국상장 설명회를 개최한 상태다. 카자흐스탄의 경우도 카자흐스탄 알마티금융센터와 정보교환 및 상호협력을 위한 상호협력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상장 유치를 준비중이다. 한 팀장은 “카자흐스탄에는 증시에 상장돼 있지 않은 대규모 자원개발회사가 많아 국내 증시에 상장될 경우 자원확보 등 여러면에서 긍정적이기 때문에 내년 초에 상장설명회 개최에 나서는 등 본격적으로 활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