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주비리가 저축은행 망친다

지난 17일 서울 한중상호저축은행에 이어 28일부산 플러스상호저축은행이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영업정지 처분을 받자 저축은행업계의 위기감이 심화되고 있다. 이달 들어서만 두번이나 저축은행의 영업정지가 나온데다 한중과 플러스 모두주주와 경영진의 비리로 업체가 문을 닫을 처지에 놓여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극에 달한 주주비리 플러스상호저축은행의 영업정지 처분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 비율이 감독기준에 미달한 것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이외에도 주주와 경영진이 결탁, 각종 불법행위를 저지른 것도 원인 중 하나로 파악되고 있다. 금감원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플러스상호저축은행의 전 대표이사인 박미향(48)씨는 지난 2001년 10월 이 저축은행의 전신인 동방상호신용금고의 지분 38.0%를인수하면서 경영자의 자리에 올랐다. 박씨는 작년 9월까지 이 업체의 경영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면서 2003년말부터 지난해말까지 120억원 가량의 자본을 확충했다. 이처럼 증자를 하면서 작년 1~9월에만 대출을 1천500억원 가량 확대하는 등 공격적인 영업을 해왔다. 그리고 지난해 9월 박미향 대표는 당시 감사를 맡고 있던 장우재(51)씨에게 대표이사직을 물려줬으나 상근부회장으로 자리를 옮겨 배후에서 업체 경영에 영향을미쳐왔다. 한편 금감원 검사결과 플러스저축은행은 2003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박미향 부회장을 비롯한 주주들에게 280억여원을 불법적으로 대출해준 것으로 드러났다. 즉, 플러스저축은행 지분매입 비용과 유상증자 비용을 불법대출로 충당했고 동시에 160억여원을 개인용도로 사용해 온 것이다. 이 결과, 2003년말 6.04%였던 이 업체의 BIS 비율은 작년 6월말에는 3.00%로 하락한데 이어 같은 해 11월말 현재 -5.55%를 기록, 1년 새 11.5%포인트 가량 급락했다. ◆"포기했다".."상시감사체계 강화할 것" 한중상호저축은행이 금감원으로부터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지 보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또다시 영업정지가 터지자 저축은행 업계는 "이제 포기했다"는 반응을보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작년 9월의 한마음상호저축은행을 필두로 아림, 한중, 플러스까지 줄줄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는 것을 보니 이제 '문 닫는' 것이 늘 있는 행사처럼 느껴진다"며 "특히 새해들어 터진 두 업체의 경우는 불황에서 비롯된 부실이아니라 주주와 경영진의 비리로 영업정지를 받게 됐다는 점에서 더 안타깝다"고 성토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현 상황에서 업계에 대한 구조조정은 자율적으로든 강제로든시행해야 하는 최우선 현안"이라고 전하고 "서민경제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부실과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업계의 구조조정에 미온적으로 나선다면 이는 더 큰 화를 자초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상시감시 체계를 구축해 업계가 침체에서 하루 빨리 벗어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며 "윤증현 위원장도 최근 한행사에서 부실업체에 대해서는 부실이 확인되는 즉시 정리하겠다는 발언을 한 바 있어 저축은행에 대한 감시업무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플러스상호저축은행은 어떤 업체인가 1970년대 동방상호신용금고로 출발한 부산지역의 중대형 업체로 지난 2001년 여고교사 출신의 박미향(48)씨가 최대주주가 되면서 플러스상호저축은행으로 이름을바꿨다. 작년 11월말 현재 총자산이 4천800억여원인 플러스저축은행의 여.수신은 각각 4천765억원과 4천516억원으로 자본금은 317억원 가량이다. (서울=연합뉴스) 고준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