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각종수수료 인상 본격착수

국고수납대행등 원가분석, 이달말 정부기관과 협상금융감독위원회가 청와대 업무보고를 통해 금융회사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수료를 대폭 현실화 하기로 함에 따라 은행권이 국고수납대행등 각종 수수료 인상을 위한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은행들은 한국은행과의 국고수납대행수수료 및 원천징수 수수료, 계좌추적수수료등에 투입되는 원가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에 나서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와의 협의등을 거쳐 곧 개별 정부기관과의 수수료협상에 나설 방침이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권이 국민연금, 건강보험등 4대 공과금 징수기관과의 수수료 협상을 건당 140원선에서 지난달 마무리한데 이어 한국은행과 국세청, 재경부등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한 수수료인상 협상에 들어간다. 은행권은 한국은행 국고수납대행수수료의 경우 공정위가 담합우려등으로 은행별로 원가를 분석해 협상을 진행하라고 지시함에 따라 현재 개별적으로 원가를 산정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국고수납의 경우 지금까지는 수수료 개념이 없었지만 일부은행들의 분석 결과 투입원가가 건당 4,000원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각 은행의 원가자료를 최종적으로 취합한 뒤 이를 근거로 협상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은행권은 또한 고객들에게 이자를 지급할 때 소득세를 따로 떼서 대신 납부해 주는 원친징수 수수료와 금융실명제 위반등과 관련된 각종 계좌추적수수료에 대해서도 개별적으로 원가분석 작업을 벌인 뒤 이르면 이달 말부터 한국은행 및 국세청, 재경부등 관계기관과의 개별 협상에 나서기로 했다. 은행 관계자는 “계좌추적을 위해 과거 수년치의 거래자료등을 요구할 경우 전산작업등에 소요되는 비용등을 감안하면 건당 수만원의 원가가 투입된다”며 “수수료를 단순히 건당 금액으로 하지 않고 요구하는 자료의 수준등에 따라 차별화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