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간물가] 채소류 출하지역 늘어 약세

지난 주 물가는 채소류의 경우 대파를 제외하고 전반적인 약세를 보였다. 출하지역이 북상, 공급물량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육류에선 지난주에 이어 닭고기가 약세였고 선어류에선 고등어와 마른멸치가 내림세였다. 그러나 곡물류중 그동안 보합세를 보였던 쌀이 오름세로 똘아서 강세를 띠었다.곡물류 그동안 보합세를 유지했던 쌀이 오랜만에 강세다. 일반미 상품 8㎏가 광주에서 500원이 올라 1만7,000원에 거래됐다. 그러나 전주 오름세를 보였던 콩은 안정세로 돌아섰다. 그외 보리쌀은 보합권에 머물러 서울에서 늘보리 상품 1㎏가 2,300원으 보였다. 채소·양념류 출하지역 확대로 공급량이 늘어난 채소류는 전반적인 약세분위기다. 단 대파가 강세로 개량종 상품 1㎏ 1단에 서울에서 200원 오른 1,000원에 거래됐다. 배추는 지역간 등락이 엇갈려 상품 2.0㎏1포기에 서울에서 500원 내린 1,000원인 반면 대전에선 200원 내려 700원이었다. 무도 지역간 등락이 엇갈려 재래종 상품 1.5㎏ 1개가 서울에서 400원 오른 1,000원. 그러나 부산에선 200원 내려 900원을 나타냈다. 양파도 상품 1㎏이 부산에서 30ㄷ300원 내려 1,000원에 거래됐지만 대전에선 500원 올라 1,200원에 거래되는 등 지역간 등락이 엇갈렸다. 그러나 오이와 감자등은 완연한 약세다. 오이의 경우 상품 250㎚ 1개가 광주에서 100원 내려 300원을 보였고 감자는 상품 1㎏에 서울에서 1,000원 떨어져 2,000원에 거래됐다. 호박도 상품 600㎚ 1개가 광주에서 200원 내려 400원 이었다. 육류 닭고기가 전주에 이어 내림세를 지속했다. 아직 삼계탕 등 복날 수요가 본격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육계용 1㎏이 서울에서 300원이 내린 3,000원을 보였고 대전에서도 200원 내려 3,000원에 거래됐다. 그외 쇠고기와 돼지고기값은 변동이 없어 쇠고기의 경우 500㎚ 1근에 서울에서 6,000원을 보였다. 선어류 지역별로 등락이 엇갈렸던 고등어가 수요가 줄어들면서 하향 안정세를 나타냈다. 상품 30㎝ 1마리가 서울에서 1,000원 내려 3,000원을 보였고 마른멸치도 약세를 면치못해 상품 3㎏가 대전에셔 3,000원이나 떨어져 4만2,000원선을 유지했다. 그외 물오징어, 조기 등은 보합세를 유지했다. 과실류 딸기가 지역별로 공급량이 달라 등락이 엇갈렸다. 상품 1㎏가 부산에선 700원 올라 4,500원에 거래되고 있는 반면 대전에선 200원 내려 3,300원을 나타냈다. 다른 사과와 배는 별다른 변동이 없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