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정원·외교부 홈페이지 해외안전정보 '구멍'

김선일씨 피살등 4월이후 정보 거의 없어

고(故) 김선일씨 피살사건으로 해외거주 교민안전대책에 비상이 걸렸으나 정작 이를 챙겨야 할 국가정보원과 외교통상부 등 해당정부기관의 홈페이지에는 `구문'이 된 정보만이 올라와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8일 국가정보원 홈페이지(nis.go.kr)의 '안전해외여행'란에 따르면 '최근 이라크 치안상황이 더욱 안좋아지고 있다"는 글이 지난 4월 9일자로 등록되어 있다. 이 글은 "지난 3월 31일 팔루자지역의 미국인 4명 살해로 미군이 대규모 작전에돌입하면서 유혈충돌이 격화되고 있다. 4월 5일과 8일에는 우리 NGO 회원 2명과 목사 7명이 피랍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사고위협이 높아지고 있다"고 적고 있다. 온 국민을 비탄에 잠기게 한 김씨 피살사건이 난 지 보름이나 지났지만 이와 관련한 추가 정보는 찾아볼 수 없어 국정원이 국민에게 제공하는 '해외여행' 정보는 4월 9일로 멈춰버린 셈이다. 글은 또 "부득이 이라크 지역을 여행할 경우 테러유형별 대처요령을 숙지하고우리 공관 연락처를 메모해 신변안전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김씨 피살사건이 이후 정부가 이라크 재입국자 각서요구에 이어, 이라크 여행금지 법안 제정 검토까지 밝힌 상황에서 "입국하면 테러대처법을 숙지하고 공관연락처를 알아두라"고 사실상 '딴소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외교통상부 홈페이지(mofat.go.kr)의 이라크와 관련한 '해외안전정보'란에도 4월 10일자로 "최근 이라크 사태 악화와 우리 국민 억류사건과 관련해 이라크 체류비필수 요원 등 우리 국민의 귀국 또는 안전지대로 대피를 권유한다"고 적고 있다. 이는 김씨 피살 사건 이후 권고수준을 넘어 전원철수를 '강력 종용'한다고 몇차례나 공식적으로 밝힌 외교부의 방침과도 맞지 않는 것이다. 게다가 "4월 10일까지 아국인 30명이 철수했고, 50여명이 4월 17일까지 철수할 예정"이라고 과거 현황만을 덩그라니 올려놓아 현재 상황은 전혀 파악이 안된다. 또 위험지역인 아프가니스탄도 예외가 아니다. 작년 12월 아프가니스탄내 테러로 유엔직원 12명이 사상해 여행을 자제해 달라는 글이 올라와 있으나 그 이후 7개월간의 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는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