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근로자 평균연령 2010년 40대 진입"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급속하게 증가해 2010년에는 40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근로자 고령화는 생산성 저하 및 기업부담 가중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돼 임금피크제 도입 등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분석.발표한 `기업내 근로자 고령화 현황과 정책과제'에 따르면 1980년 28.8세였던 근로자 평균연령은 2004년 37.5세로 높아졌으며 2010년에는 40.2세, 2020년에는 43.9세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연령별 근로자 비중을 살펴봐도 1980년에는 20대 이하가 60.6%로 다수를 차지했지만 2004년에는 27.5%로 크게 줄었고, 반면 40대 이상은 같은 기간 15.8%에서 39.5%로 급증했다. 핵심 근로계층이 20대 이하에서 40대 이상으로 전환된 것. 이러한 근로자 고령화 현상은 직종별로는 생산직, 규모별로는 대기업에서 더욱빠르게 나타났다. 1980년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27.1세로 사무직(28.8세), 판매.서비스직(35.7세)보다 젊었지만 2004년에는 41세로 80년에 비해 13.9세나 올라갔을 뿐만 아니라 사무직(32.8세), 판매.서비스직(36.1세)보다 절대연령도 높아졌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300인미만)은 1980년 29.8세에서 37.8세로 8세 많아졌지만 대기업은 같은 기간 27.5세에서 36.5세로 9세가 높아져 절대적인 나이는 어리지만 고령화 진행속도는 빨랐다. 이 같은 고령화 진행속도는 일본보다 훨씬 빨라 1980-2003년 우리나라 근로자의평균연령은 28.8세에서 37.1세로 28.2% 높아졌지만 일본은 같은기간 36.8세에서 40.3세로 9.5% 올라가는데 그쳤다. 근로자의 평균 근속연수는 1980년 2.8년에서 2004년 5.8년으로 늘어났는데 같은기간 평균연령이 8.7세 높아진 것에 비하면 증가폭이 작다. 규모별로 대기업 근속연수는 80년 3.1년으로 중소기업(2.6년)보다 불과 0.5년많았지만 작년에는 8.6년으로 중소기업(5.2년)보다 3.4년이나 많아져 격차가 커졌다. 경총은 근로자 고령화의 원인으로 ▲노동시장의 유연성 부족 ▲경력직 위주의채용관행 확산 ▲고학력화로 노동시장 진입 지연 ▲노조영향으로 대기업 고용안정성증가 등을 꼽았다. 경총은 "노동시장이 경직돼 기업이 위기에 처했을 때도 근로자의 해고나 재배치등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이는 신입직원 채용의 기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경총은 근로자 고령화가 고령자의 생활안정 측면에서 바람직한 현상이기는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고임금 근로자 증가로 부담이 늘고 생산성이 줄어들며 청년계층의 시장 진입을 막아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경총은 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금피크제 등 성과주의 임금체계를 도입하고 이에맞춰 노동관계법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총은 "현행 노동관계법 체계상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의 효력때문에 임금피크제 등 새 제도 도입을 위한 당사자간 합의가 무효가 된다"면서 "고령자는 근로기준법 및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등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산업수요에 부응하도록 교육 체계를 개선하고 전직지원 제도도 활성화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