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채권시장풍향계] 국고채 3년물 4%선서 매매 공방 벌일듯

박성진 삼성자산운용 채권운용본부장


연속 기준금리 인상과 쉬어가기 사이에서 고민했을 한국은행은 지난주 쉬어가기를 선택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하고 경기에 대해 견조하게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하지만 이집트 사태와 같은 약간의 하방 우려가 포함된 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다. 채권시장은 마치 이를 예견한 듯 금융통화위원회(11일) 이틀 전까지 국고채 3년물 금리 기준으로 4.2%대로 육박하다가 다시 반락하기 시작했다. 만일 연속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면 채권시장은 이성적으로 가치를 가늠하면서 투자활동이 이루어지는 국면이라기 보다는 공포가 지배하는 국면이 더 오래 진행되었을 것이다. 물론 지난주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않았다고 해서 금리인상 기조가 멈추었다고 생각할 시장참가자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2.75%의 기준금리가 조만간 3%대로 올라서고 점진적으로 인상된다고 했을 때 장기채의 적정금리를 냉정하게 고민하기 시작할 것이다. 기준금리를 동결한 금통위 당일에 시장금리가 공방 끝에 보합수준에 머물렀다는 것이 이 같은 고민의 시작을 반증한다. 상승기조에 있는 3%대의 기준금리, 당분간 유지될 4%대의 물가상승률과 5%대의 경제성장률 전망 등은 시장금리 상승, 즉 시장의 약세(채권값 하락) 요인이 된다. 하지만 국고채 3년물이 이미 4% 수준으로, 지난해말 대비 0.8%포인트 이상 상승한 데다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채권투자를 꽤 지연시킴으로써 주머니가 비었다는 점은 시장금리 하락, 즉 시장의 강세(채권값 상승) 요인이다. 이번 주는 금통위 재료가 소멸된 후 열리는 첫 주간으로 조만간 현실화될 3%대 기준금리를 토대로 국고채 3년물이 4.0%선에서 공방을 벌이며 이익실현 매물과 투자수요가 부딪힐 전망이나 재차 3%대에서 안착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