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車 재파업여부 촉각

전면파업 돌입땐 우량협력업체도 도산 우려합의안 찬반투표서 부결…24일부터 재협상 현대자동차 노사 잠정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연내 재타결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히 노사간 재협상에서 노조측이 결렬을 선언하고 또다시 재파업에 돌입할 경우 막대한 매출손실은 물론 우량 협력업체까지 도산위기에 몰리는 등 큰 파장이 우려된다. 23일 현대자동차 노사에 따르면 노사는 지난 20일 실시된 올해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됨에 따라 24일부터 재협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노조측은 현장 조합원들의 불만 해소를 위해 잠정 합의안의 임금 8만8,000원인상과 300%성과급보다 훨씬 상향 조정된 임금안을 갖고 협상을 벌일 방침이다. 반면 회사측은 내년 설비투자에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데도 잠정합의안 타결당시 국내 제조업 최고 수준의 임금을 인상하고 성과급에 일시금 160만원까지 지급, 추가지급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재협상과정에서 이번 찬반투표에서 부결을 주도했던 6개 현장조직이 자파 세력 확대를 위해 노조집행부에 재파업을 집요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 전면파업을 배제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노조측이 또다시 재파업에 들어갈 경우 막대한 매출손실과 수출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전면파업이 1주일이상 계속되면 잠정합의안 타결전까지 7,375억원이던 매출손실액이 올해 순이익 규모인 1조2,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미국시장 돌풍에 힘입어 사상 최초로 연간 100만대 수출을 눈앞에 두었으나 차질이 예상되며 대외 신인도도 결정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잠정합의안 타결전까지 5,200억원의 매출손실을 입었던 3,900여개의 협력업체중 상당수는 도산위기를 맞거나 적자경영을 벗어나기 힘들 전망이다. 협력업체 모임인 협동회 간부는 "일부회원사는 모처럼 연말 흑자를 예상했지만 원청업체의 파업사태로 또다시 적자를 벗어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29만여명의 협력업체 종업원들의 일자리를 뺏는 일이 없도록 모기업 노사의 조속 타결을 바란다"고 말했다. 김광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