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외기관, 한국투자때 정치적 안정회복 중시"

세계경영硏, 펀드매니저 조사

해외 기관투자가들이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결정을 내릴 때 가장 중시하는 요소는 ‘정치적 안정 회복’인 것으로 조사됐다. 촛불시위의 영향에 대해서는 ‘영향 없다’와 ‘부정적’이라는 의견이 엇갈렸다. 세계경영연구원은 13일 해외 유명 펀드매니저 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2%가 한국 투자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 ‘이명박 정부의 개혁 추진을 가능하게 하는 정치적 안정 회복’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29%는 ‘세계경제의 안정화’를 꼽았고 ‘재벌의 투명성’이라는 응답도 21%에 달했다. 반면 ‘남북관계 안정’이라는 답변은 4%에 그쳤다. 최근 북핵 진전 효과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39%가 ‘투자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시위에 대해서도 55%가 ‘투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변했지만 ‘매우 부정적’ 및 ‘부정적인 편’이라는 답변도 각각 32%와 9%로 총 41%가 부정적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울고등법원이 ‘론스타 펀드의 외환카드 주가 조작사건’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린 것 역시 ‘별 영향 없다’는 답변이 52%로 가장 많았지만 ‘부정적인 편’이라는 답변도 48%에 달했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성장세와 관련해서는 ‘잠재력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답변이 61%로 ‘잠재력과 비슷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답변(22%)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는 고유가 등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급격히 둔화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