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사설/5월 19일] 납품단가 마찰 상생정신으로 풀어야
주물제품의 납품가 인상을 둘러싼 수요업체와 공급업체 간 마찰이 납품중단 사태로 번지는 등 갈등이 증폭되고 있어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자동차 등 관련산업의 생산 및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주물업계는 현대자동차와 GM대우 등 완성차 업체의 1차 협력사들이 주물부품 납품가 인상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자 납품중단에 들어갔다.
주물업계뿐 아니라 여러 분야가 납품가 마찰을 겪고 있다. 골판지포장업계와 식품업계, 철강업체와 조선업체 등 수요업체, 운임인상을 둘러싼 수출업계와 해운업계 등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대기업과 대기업 간에도 갈등을 빚고 있다. 이 같은 마찰의 근본원인은 경기회복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에 있다. 주물업계의 경우 원료인 고철 가격이 크게 올랐는데 납품가가 이를 따르지 못해 공장을 돌릴수록 손해라고 비명이다. 고철 가격이 1년반 전에 비해 65%나 올랐지만 납품단가는 겨우 7% 인상에 그쳤다는 주장이다. 해운운임 마찰은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해운업계의 구조조정으로 선복량이 감소한 반면 경기가 회복국면에 접어들면서 물동량이 늘어나고 있는 데서 비롯되고 있다.
사태가 확산되자 정부가 나섰다. 지식경제부는 철강업계에 과도한 인상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고 공정거래위원회는 담합 등 불공정행위 여부 조사에 들어갔다. 사태확산과 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지나친 개입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납품가 문제는 기본적으로 기업들이 수급과 원가 등을 따져 결정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납품가 대폭인상을 요구하는 쪽이나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쪽이나 어느 한편이 일방적으로 옳다고 하기는 어렵다. 원자재가 상승분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나 비용절감 및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그럴 수 없다는 입장 모두 일리가 있다. 결국 이 문제는 상생의 정신으로 풀 수밖에 없다. 납품가를 어느 정도 현실화하는 것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모기업과 협력업체, 공급자와 수요자가 한발씩 양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모기업의 경영사정과 실적이 상대적으로 나은데다 협력업체가 약해지면 모기업의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납품가 현실화는 모기업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