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침ㆍ뜸 시술 KS 제정

기술표준원 “안전ㆍ위생 강화…한약재ㆍ한방의료기기 표준도 개발 예정”


한방용 침ㆍ뜸 시술과정의 위생 및 안전관리 기준에 대한 국가표준(KS)이 제정됐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침 시술 안전관리, 인체 경혈 명칭 및 위치, 뜸 일반요구사항 등 3종의 국가표준을 제정, 내년 1월2일부터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침 시술 안전관리 표준은 침 시술에 필요한 사전준비, 절차, 사후 처치 및 사고 발생 시 대처방법 등 시술 전 과정에 대한 안전위생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침 시술 전 환자에게 금속 알레르기나 에이즈 같은 전염성 질환, 임신 여부 등을 확인하고 침 시술 부위는 알코올로 반드시 소독하도록 했으며, 항상 멸균된 침을 사용하고 사용한 침은 반드시 분리해 별도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체에 침을 놓는 14개 경맥, 361개 경혈의 명칭 및 위치와 인체 표면에서 경혈을 찾는 방법도 표준화해 치료 효과를 높이고 이를 침구 및 관련 분야의 교육,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뜸 표준은 시술 범위, 뜸을 뜨는 방법, 뜸을 뜨는 데 사용되는 각종 재료의 시험방법, 포장 및 표기방법 등을 규정하고 있다. 뜸 재료는 국제표준에 따라 세포독성, 감작성(알레르기), 자극성, 피내반응 및 전신(급성)독성 시험 등 생물 안전성 시험을 거쳐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했다. 이번에 제정된 표준은 대한한의사협회와 한국한의학연구원이 개발한 것이다. 기술표준원은 “표준 제정을 통해 침ㆍ뜸 시술 행위의 안전성을 높여 치료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전통의학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제표준화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한약재와 한방의료기기에 대한 표준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사진 : 농촌 지역의 고령 노인들을 대상으로 무료 한방시술이 실시되고 있다. /서울경제DB)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