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토종 패션브랜드 불황에도 '꿋꿋'

'써스데이' '쿠아' 등 값싸고 디자인 다양해 인기


불황과 해외 패션 브랜드의 공세에 국내 패션 브랜드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토종 패션 브랜드들이 있어 눈길을 끈다. 9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최근 겹쳐 입는 레이어드 룩 스타일과 중저가 가격대를 앞세운 '써스데이아일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써스데이아일랜드는 롯데백화점 28개 전점에 입점해 있으며 올 들어 10월까지 매출이 지난해보다 18% 신장했다. 특히 9월 매출 신장률이 35%, 10월 47%로 최근 성장세에 가속도가 붙었다. 현대백화점에서도 10월 매출이 지난해 대비 39% 신장했는데 개성 강한 스타일과 간절기에 알맞은 레이어드 룩 스타일이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쿠아', '플라스틱아일랜드' 등 국내 SPA형 패스트패션 브랜드들도 '자라', '갭' 등 해외 SPA 브랜드에 맞서 선전하고 있다. 지난달 신세계백화점에서 '쿠아'의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8.7% 신장했고 '플라스틱 아일랜드' 24.7%, '르샵'이 11.0% 증가하며 전체 여성 캐주얼 신장률 5.5%를 크게 웃돌았다. 현대백화점에서도 '테이트', '엠폴햄' 등 국내 SPA형 브랜드들이 10월에 20~30%의 신장률을 기록할 정도로 반응이 좋다. 현대백화점 상품본부 이병조 바이어는 "이들 브랜드는 가격이 해외 브랜드들보다 10~15% 가량 저렴한데다 해외 브랜드 못지않게 소비자들의 트렌드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의 상품을 수시로 선보이는 게 인기 비결"이라고 말했다. 수입 브릿지(명품과 일반브랜드의 중간가격대)라인과 당당히 맞서는 국내 브랜드도 있다. 올 상반기 갤러리아명품관에 입점한 '컨플릭티드텐던시'는 고정고객을 확보하면서 매장내 동종 상품군에서 매출 1위에 올랐다. 특히 기존 브랜드에 식상함을 느끼던 압구정, 청담동 고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내 브랜드들이 설 자리를 잃고 있는 남성 정장ㆍ캐주얼 부문에서는 '솔리드 옴므'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갤러리아명품관웨스트에 입점한 '솔리드 옴므'는 올해 남성 정장 및 캐주얼 매출이 줄곧 하락하는 가운데서도 10월에 19%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했다. '솔리드 옴므'는 매년 파리 프레타포르테에서 컬렉션을 진행할 정도로 글로벌 감각이 앞서며 도시적이고 트렌디한 상품 개발로 강남지역의 트렌드세터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타임 옴므'의 한섬이 올 가을ㆍ겨울 시즌 론칭한 '시스템 옴므'도 '타임 옴므'보다 가격대가 30% 정도 저렴해 20대에서 30대 초반 젊은층에게 어필하며 매출 목표 대비 130%의 달성율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