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열반' 생긴다는데… 중간고사 준비 어떻게

학습계획표 짜고 기출문제 꼭 풀어야<br>중요과목-취약과목 공부시간 적절히 안배<br>과목별 기출문제서 중요한 내용 체크하고 학원·인터넷강의 특강·문제풀이도 활용을


새 학년의 첫 중간고사가 2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중1이나 고1 학생들은 입학 후 처음 보는 중간고사에 대한 부담이 클 것이다. 1학년이 아니더라도 특목고 진학을 목표로 하는 중학생들은 특목고 입학전형에서 내신비중이 확대된 만큼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 건국대 등 일부 대학은 수시전형에서 중학교 내신성적도 평가한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대학입시를 목전에 둔 고등학생들에게 내신 성적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을 터. 중간고사 준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남은 2주일을 알차게 보내는 법을 살펴본다. ◇공부 계획표를 짜라= 우선 각 과목의 시험범위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 자신이 취약한 부분 등을 종이 한 장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본다. 이에 맞춰 공부에 필요한 시간을 계산한다. 국어ㆍ영어ㆍ수학 등 중요 과목 위주로 공부하되 암기과목을 충분히 공부하지 못했다면 이 부분에도 시간 안배를 하자. 암기과목은 시험 직전에 다시 한 번 반복해서 기억을 되살리는 게 중요하다. 과목별 공부방법은 교과서를 정독하고 필기공책을 참고해 주요 개념을 요약ㆍ정리한다. 다음으로 문제집을 풀어본 뒤 기출문제를 점검한다. 만약 중간고사 대비를 차근차근 해 온 학생이라면 2주일 정도 남겨두고 참고서나 문제집 등을 집중적으로 풀면서 다양한 출제유형을 익혀본다. ◇기출문제를 구해서 풀어본다= 선배들을 통해 과목별 출제 교사의 기출문제를 얻어서 풀어보면 좋다. 똑 같은 문제가 나오지는 않더라도 해당 교사가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보고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해가 바뀐다고 해서 중요한 부분이 달라지지 않는다. 기출문제를 구하지 못했다면 출판사에서 펴낸 기출문제집을 풀어보는 것도 방법이다. 또 시험이 가까워질수록 수업시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시험 출제를 마친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시험 포인트를 짚어주거나 출제한 부분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시험을 앞두고 나눠주는 과목별 학습 프린트물도 꼭 풀어보자. ◇오답 노트를 만든다= 한 번 틀린 문제는 다음 번에도 또 틀리게 될 가능성이 높다. 자주 틀리는 유형의 문제들은 문제와 답을 정리해 오답 노트를 만들어 두면 시험 직전에 다시 볼 때 도움이 된다. 오답 노트를 만들 때는 틀린 이유와 풀이 과정, 이론과 공식 등을 자세히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학원ㆍ인강 100% 활용하기= 방과 후에 학원을 다니거나 인터넷강의 등을 들어온 학생이라면 시험기간이라고 건너 뛰지 말고 잘 이용하도록 한다. 학원에서도 시험기간에 맞춰 특강이나 기출문제 풀이 등을 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학원에서 배운 내용과 문제풀이는 그 자리에서 모두 소화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임하는 것이 좋다. 인터넷 교육 사이트들도 중간고사에 대비해 다양한 무료 강좌 및 이벤트를 하고 있다. 시험공부 시간표를 짤 때 자신에게 꼭 필요한 강좌를 포함시킨다. 또 자투리 시간을 아껴쓰는 것도 남은 기간을 최대한도로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방법이다. 학교 및 학원의 쉬는 시간, 등ㆍ하교 시간, 시험 전 학교에서 종종 주어지는 자습시간에 영어 단어나 한문 암기, 오답 노트 정리 등을 해보자.
시험기간 주의사항

“지나간 시험 연연말고 다음날 준비 충실히”
아무리 중간고사 준비를 철저히 했더라도 시험기간에 자칫 실수하면 노력한 것 만큼의 성적을 올리지 못하게 된다. 시험기간에 주의할 사항을 소개한다. 시험이 시작되면 직전 쉬는 시간에 외운 공식이나 주요 내용을 시험지를 받자마자 시험지 여백에 적어둔다. 조금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시험을 볼 수 있다. 또 시험문제를 꼼꼼하게 읽어서 안타까운 실수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아닌 것을 골라라' '두 가지를 선택하라' 등 문제의 주요 지시사항은 밑줄을 그으면서 꼭 확인한다. 시험시간을 효율적으로 배분해서 문제를 푸는 것도 중요하다. 잘 풀리지 않는 문제에 매달리다가는 충분히 맞출 수 있는 문제까지 놓치는 수가 있다. 시험시간과 한 문제에 평균적으로 쏟을 수 있는 시간을 가늠해보고, 한 문제에 너무 시간을 많이 지체했다 싶으면 체크해놓고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그날 시험이 끝나면 다음날 시험 준비를 위해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곧바로 집으로 돌아와 공부한다. 지나간 시험에 대해서는 연연해 하지 않는다. 다음날 시험 볼 과목에 대한 준비가 충분하다면 저녁시간 전까지는 다른 날 시험과목 중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을 미리 공부해 두는 것도 좋다. 1~2시간 정도 숙면을 취한 뒤 맑은 정신으로 공부를 시작하는 것도 효율적이다. 도움말=엠베스트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