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문 애독자, 他매체보다 한국 미래 긍정적 인식"

한국언론진흥재단 설문조사 결과


신문을 많이 읽는 사람들이 다른 매체 이용자보다 한국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생각하며 우리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이성준)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1월1일~12월6일 서울·경기와 5대 광역시 19~64세 1,832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 조사와 함께 미디어 이용 및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다이어리 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문과 인터넷 두 매체의 이용자 모두 사회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그러나 사회에 대한 긍정성은 두 매체 이용자 간에 큰 차이가 났다. 신문 이용자들은 한국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았지만 인터넷 이용자들은 반대로 부정적인 편이었다. 신문 열독자들은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은 편이다'와 '우리나라는 법과 원칙이 통하는 사회다'라는 항목에서도 각각 52.1%, 27.7%가 동의해 다른 매체보다 높았으나 같은 항목에서 인터넷 독자들은 46.9%와 23.5%가 각각 '그렇다'고 답해 조사대상 매체 중 낮은 편에 속했다. 또 '정치나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뉴스를 좋아한다'는 항목과 관련, 신문과 인터넷 이용자들의 42.6%와 36.1%가 '그렇다'고 답해 다른 매체 이용자의 응답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뉴스를 보고 주변 사람들과 내용을 공유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항목에서도 신문과 인터넷 이용자들의 40.6%와 36.4%가 각각 동의해 다른 매체에 앞섰다. 한편 언론진흥재단은 조사 대상자를 1주일 평균 대화 인원 수에 따라 상위 30%와 중위 40%, 하위 30%로 나눈 뒤 8가지(신문ㆍ인터넷ㆍ지상파TVㆍ유료방송ㆍ라디오ㆍDMBㆍIPTVㆍ위성방송) 매체별로 지난 1주일간 이용한 적이 있는지 묻는 방식으로 매체 이용률을 조사했다. 대화 인원 수가 많은 상위 집단은 하위 집단보다 미디어 이용률이 높게 나타나 미디어 이용률과 사회 참여도가 비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