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새 의료용구관리제 시작부터 ‘삐그덕’

◎업무 폭증 불구 인력은 제자리 ‘하루종일 북적’새의료용구제도가 준비소홀등으로 시행 초기 단계부터 큰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13일 의료기기 업계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새의료용구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업체들에 대한 홍보부족과 업무량증가에 따른 인원충원이 제대로 안돼 관련기관과 업체들이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정부의 수입허가업무를 대신하고 있는 의료용구조합에는 서류심사를 받기 위한 업체관계자들로 북적이고 있다. 새의료용구제도는 기존에 수입되던 의료용구는 2년간 적용을 유예받을 수 있지만 신규품목은 안전성·유효성 심사결과 통지서, 시험검사성적 적합확인서등 갖춰야 할 서류가 늘었기 때문이다. 새제도의 적용시기가 너무 촉박해 제도설명회및 홍보등 업체들이 충분히 준비하지 못했던 것도 혼란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의료용구조합과 생산기술원에는 새 의료용구제도에 대한 문의 전화가 하루 1백통이상 쇄도하고 있어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고 서류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수입업자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다. 조합의 한관계자는 『수입업무처리시간이 3분에서 30분으로 크게 늘어나 수입업무 처리만으로도 하루가 모자란 형편이어서 조합 본업무는 거의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가 새제도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는 것을 비롯 여려차례 설명회를 개최했지만 업체들이 건성으로 참가했거나 아예 참석하지도 않은 것도 혼란을 가중시킨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따라 새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의료용구조합의 한관계자는『보건복지부와 협의해 시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고 있으며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기회와 업체관계자들이 참석하는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문병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