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이용함으로써 난치성인 척수손상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5일 서울대 수의과대학 강수경 교수팀이 척수손상 동물 모델에서 신규 유전자인 'microRNA486'의 발현 조절을 이용해 손상된 척수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척수손상은 외상으로 인한 1차 손상과 외상 후 염증 등으로 일어나는 2차 손상으로 나뉘는데, 2차 손상은 주로 손상 부위에서 과도하게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된다.
강 교수팀은 척수손상 부위에 과도하게 발생되는 활성산소가 'GPX3', 'SEPN1', 'TXNL1'이라는 세 가지 유전자가 발현됨에 따라 제거되며, 이들 세 유전자는 'NeuroD6'라는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밝혀냈다.
강 교수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microRNA486'라는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면 'NeuroD6' 유전자 가 활성화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즉 'microRNA486'을 억제해 'NeuroD6' 발현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세 가지('GPX3', 'SEPN1', 'TXNL1') 활성산소 제거 유전자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척수의 2차 손상 진행을 낮출 수 있다는 원리를 확인한 것이다.
강 교수는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microRNA486'의 조절을 통해 손상된 척수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작용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며 "이 같은 유전자 조절을 통해 척수손상과 같은 난치병 치료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계 분야의 저명한 저널인 'Brain'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