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웃돕기사칭 장삿꾼 기승

연말연시를 맞아 불우이웃돕기를 가장한 사기 판매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특히 경기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자 전국 관공서와 공단을 돌며 생필품을 파는 전문조직까지 활개를 쳐 민원업무가 마비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한 실정이다. ◇침묵시위에 폭언, 바가지 요금 울산시에 근무하는 최모(49)씨는 얼마 전 황당한 일을 당했다. 장애단체 간부 2명이 "과장과 얘기가 됐다"며 볼펜 1박스를 내밀고 다짜고짜 7만원을 낼 것을 종용한 것이다. 그러나 최씨는 과장의 지시도 없었거니와 장애단체의 실체가 불분명하고 구입가격도 시중보다 3배 가량 비싸 정중히 사양했다. 그러자 이들은 윗사람의 지시를 이행하지 않는다며 화를 냈고 청경이 밖으로 데리고 나가자 잠시 후 다시 돌아와 자신을 쫓아냈다며 고함을 치고 거세게 항의하며 행패를 부렸다. 울산석유화학단지 H사의 박모(40) 과장도 본업인 환경설비관련 업무는 뒷전이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불우이웃단체 관계자들의 방문이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작업공정이 위험하고 기업비밀 보호를 위해 정문에서 청경이 통제를 하고 있지만 떼지어 밀치고 들어오기 일쑤다. 박 과장이 이달 들어 물품 구입에 들인 비용은 100만여원. 박 과장은 "공식 불우이웃돕기 행사는 회사 기부금으로 지출되지만 비공식적인 것은 대부분 사비로 충당하고 있다"며 "물품을 구입하지 않고 20만원을 줘 돌려보낸 적도 있다"고 말했다. ◇관공서와 공단이 주요 거점지 이들은 대부분 연말연시를 맞아 한몫 잡으려는 전문 장사꾼이다. 불우이웃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에 편승, 그럴듯한 사이비 단체를 만든 후 접근이 쉬운 관공서와 공해 등 약점이 많은 공단을 떠돌며 매출을 올린다. 부산의 한 나환자단체 회원 100여명은 2~3명씩 조를 짜 울산 등 전국을 돌며 생필품을 팔고 있으나 공공기관과 후원기관에 등록된 적도 없고 회원 대부분이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해 의구심을 낳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업무 지장은 물론 진짜 민원인이 관공서 방문에 애를 먹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전정부청사 관계자는 "경비대를 통과하더라도 각 건물 입구에서 도우미와 청경으로부터 신분증 확인을 한 후 방문카드를 받아야 한다"며 "화장실에 간 사이 민원인과 전화연결이 되지 않아 따로 밖에서 만난 적도 있다"고 말했다. ◇방문 판매는 일단 의심 소비자 및 자선단체 관계자들은 ▦우편이나 전화로 물품 구매 권유를 하지 않고 직접 방문하거나 ▦방문시 협박과 폭언을 일삼고 ▦시중 판매가격보다 과도하게 비쌀 경우 불우이웃을 빙자한 사기 판매일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한다. 또 물품구입 전에 ▦단체명을 적어 소재지 관청과 복지기관, 종교단체 등에 확인하고 ▦물품구입 후 제품하자시 반품을 위해 전화연락처와 담당자 이름을 적어둘 것을 당부하고 있다. 김광수기자 박희윤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