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주들은 장애인들의 낮은 업무능력이나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로 장애인 채용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일반 근로자의 3분의2 수준에 불과하고 일자리도 단순노무와 생산기능직이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노동부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과 함께 지난해 7~12월 두 차례에 걸쳐 상시근로자 1인 이상 사업장 4만곳과 장애인 고용 사업체 4,295곳, 장애인 근로자 1만5,546명을 대상으로 장애인 고용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결과 기업의 60.2%가 장애인 채용이 용이하지 않다고 답했다. 용이하지 않은 사유로는 업무에 적합한 장애인력 부족이 39.6%로 가장 많았고 작업 중 안전 우려(23.3%), 구직 장애인 정보 부족(14.1%), 장애인에 적합한 시설ㆍ장비 부족(13.0%) 등이 꼽혔다.
직원 채용시 장애인에 우대를 제공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10.6%에 그쳤다. 장애인에 대한 우대는 특별채용(38.1%), 연령제한 완화(22.3%), 가산점 부여(19.3%), 일정 비율 적용(16.6%)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장애인의 능력보다는 다른 이유로 선발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장애인 채용 사유를 물은 결과 35.6%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고 답했으며 사업주의 장애인 고용의지(20.4%), 의무고용제 또는 장려금 등 고용지원제도 때문(14.6%)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인 구별 없이 능력 위주로 선발(6.8%), 업무 특성상 장애인 필요(1.6%), 장애인 고용이 기업이익 기여(1.7%) 등 실질적인 사유는 다 합해야 10% 수준에 그쳤다.
장애인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은 157만원으로 전체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 240만원의 65.4%에 불과했다. 근무직종은 단순노무직이 27.6%로 가장 많았고 장치ㆍ기계조작 및 조립직 23.7%, 사무직 13.1%, 기능원 및 관련 기능직 9.7% 등의 순이었다. 장애인 근로자들은 구직활동시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일자리 부족(30.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23.6%), 낮은 임금(22.8%)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장애인 고용 사업주의 79.6%는 장애인 고용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고 조사대상 사업체의 20.6%가 앞으로 3년 이내에 2만1,000명의 장애인을 추가 고용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태조사 결과 상시근로자 1인 이상 전체 사업체 295만8,000곳 가운데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는 총 6만4,000곳이고 장애인 근로자는 12만4,432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