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 장애인 고용 기피 여전

60%가 낮은 업무능력·안전사고 우려로 꺼려<br>평균임금, 일반근로자 3분의2 수준 불과<br>직종도 단순노무·생산기능직이 절반 넘어

사업주들은 장애인들의 낮은 업무능력이나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로 장애인 채용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일반 근로자의 3분의2 수준에 불과하고 일자리도 단순노무와 생산기능직이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노동부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과 함께 지난해 7~12월 두 차례에 걸쳐 상시근로자 1인 이상 사업장 4만곳과 장애인 고용 사업체 4,295곳, 장애인 근로자 1만5,546명을 대상으로 장애인 고용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결과 기업의 60.2%가 장애인 채용이 용이하지 않다고 답했다. 용이하지 않은 사유로는 업무에 적합한 장애인력 부족이 39.6%로 가장 많았고 작업 중 안전 우려(23.3%), 구직 장애인 정보 부족(14.1%), 장애인에 적합한 시설ㆍ장비 부족(13.0%) 등이 꼽혔다. 직원 채용시 장애인에 우대를 제공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10.6%에 그쳤다. 장애인에 대한 우대는 특별채용(38.1%), 연령제한 완화(22.3%), 가산점 부여(19.3%), 일정 비율 적용(16.6%)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장애인의 능력보다는 다른 이유로 선발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장애인 채용 사유를 물은 결과 35.6%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고 답했으며 사업주의 장애인 고용의지(20.4%), 의무고용제 또는 장려금 등 고용지원제도 때문(14.6%)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인 구별 없이 능력 위주로 선발(6.8%), 업무 특성상 장애인 필요(1.6%), 장애인 고용이 기업이익 기여(1.7%) 등 실질적인 사유는 다 합해야 10% 수준에 그쳤다. 장애인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은 157만원으로 전체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 240만원의 65.4%에 불과했다. 근무직종은 단순노무직이 27.6%로 가장 많았고 장치ㆍ기계조작 및 조립직 23.7%, 사무직 13.1%, 기능원 및 관련 기능직 9.7% 등의 순이었다. 장애인 근로자들은 구직활동시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일자리 부족(30.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23.6%), 낮은 임금(22.8%)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장애인 고용 사업주의 79.6%는 장애인 고용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고 조사대상 사업체의 20.6%가 앞으로 3년 이내에 2만1,000명의 장애인을 추가 고용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태조사 결과 상시근로자 1인 이상 전체 사업체 295만8,000곳 가운데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는 총 6만4,000곳이고 장애인 근로자는 12만4,432명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