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속보]작년 국내총생산 2.8% 증가…3년만에 반등

지난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8%를 기록, 3년 만에 반등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3분기보다 0.9%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성장률(실질 GDP 증가율) 잠정치는 2.8%로 한은의 기존 예상치와 부합했다.

연간 성장률은 2010년 6.3%에서 2011년 3.7%, 2012년 2.0%로 낮아지다가 지난해 높아졌다.

한은은 “수출이 견조한 증가를 지속하는 가운데 민간소비가 꾸준히 늘고 건설투자가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수출 증가율은 4.3%로 전년의 4.2%를 웃돌았고, 민간소비 증가율도 1.9%로 전년의 1.7%보다 높아졌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6.9%로 2012년의 -2.2%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만, 설비투자 증가율이 -1.5%로 여전히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갔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 성장률이 2.2%에서 3.0%로 높아졌으며, 건설업 성장률도 -1.6%에서 3.7%로 플러스 전환했다. 서비스업 성장률은 2.4%로 2012년의 2.5%보다 조금 낮아졌다.

관련기사



건설투자 증가율과 건설업 성장률이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모두 4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4.3% 늘었다.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 무역손실 규모가 감소함에 따라 GDI 증가율이 GDP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4분기의 성장률 0.9%는 2분기와 3분기(각 1.1%)보다 낮은 수준이다.

의류·식료품 등을 중심으로 민간소비가 0.9%, 기계류·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설비투자가 6.4%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건물과 토목 건설이 부진해 건설투자는 3.8% 감소했다.

수출은 자동차·부품, 기계, 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수입은 기계·금속제품을 중심으로 2.0%와 2.1%씩 늘었다.

4분기 GDI 증가율은 교역조건 악화로 GDP 증가율을 밑도는 0.4%를 기록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