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한과 대화 위한 대화는 안겠다

윤병세 "비핵화 국제의무·약속 준수 행동으로 진정성 보여야"<br>"남남갈등 조장하려는 행태" 6·15행사 공동개최 거절<br>박 대통령 원색적 비난에 北 언행 자제·절제 촉구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7일 북한과의 비핵화가 전제되지 않는 "대화를 위한 대화는 없다"며 입장을 분명히 했다. 통일부도 북측의 6ㆍ15 행사 공동개최 제안을 불허했다.

윤 장관은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첫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대화 용의를 표명했다는 것과 관련해 우리로서는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된다는 입장"이라며 "북한은 비핵화와 관련된 국제 의무와 약속을 준수함으로써 행동으로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또 "6자회담 당사국들과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 보유를 절대로 용인할 수 없다는 강력하고 일관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해왔다"며 "우리 정부는 이 같은 메시지가 북핵 문제의 진전과 북한의 변화로 이어지도록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 최룡해 특사의 중국 방문으로 한중 간 공조가 느슨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는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채택하고 이행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태도는 과거와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며 "중국은 과거 어느 때보다 6자회담의 여타 당사국들과 공조를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북한 문제를 풀기 위해 한중 간 더욱 긴밀히 공조해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대북 압박을 위한 한중 양국의 공조 움직임이 강화되는 모양새다.


통일부도 이날 북측의 6ㆍ15 남북 공동행사 제의를 거부하고 대남 비난 발언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는 등 이전보다 강한 메시지로 북한의 움직임에 대응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이 개성공단 관련 남북 당국 간 대화 제의는 지속적으로 거부하면서 민간단체를 상대로 6ㆍ15 남북 공동행사 개최를 제의하는 등 이중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북한의 이러한 태도는 남남갈등을 조장하려는 구태의연한 행태로 심각한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또 "북한은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는 6ㆍ15 남북 공동행사에 더 이상 집착하지 말고 조속히 남북 당국 간 대화에 호응해 나올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 국방위 대변인이 전날 '괴뢰 대통령 박근혜' 등 원색적 비난을 쏟아낸 것과 관련해 "북한이 공식 매체를 통해 입에 담을 수 없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다"며 "이는 즉각적으로 중단돼야 하며 남북 관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북한은 언행을 자제하고 절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이날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방문한 자리에서 "북한이 도발하면 도발하는 것보다 당하는 게 더 크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밝히는 등 정부 고위인사의 대북 강경 발언이 계속되고 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